국내 30대 그룹에 속한 83개사가 올해 중소 협력사에 3조7836억원을 지원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전년대비 38.6% 증가한 것이며, 이들 그룹들은 1차 협력사 뿐만아니라 2·3차 협력사로도 지원을 확대할 방침이다.
세부적으로는 자금 지원이 2조81억원으로 작년보다 41.7%, 기술개발 지원이 9472억원으로 작년보다 31.3%, 기타 지원금이 363억원으로 작년보다 15.1% 증가했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13일 오전, 청와대에서 열린 이명박 대통령과 대기업 총수들과 간담회에서 이같이 보고했다.
공정거래위원회가 공정거래 협약에 참가한 76개 대기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이들이 올해 협력업체에 지원하는 액수는 납품단가 인상분 1조1500억원을 포함, 3조6000억원으로 추정되고 있다.
정병철 전경련 상근부회장은 "글로벌 경쟁환경은 개별 기업 차원의 경쟁을 넘어서 협력업체를 포함한 네트워간 경쟁으로 전개 중"이라며 "완제품의 경쟁력은 수많은 기업의 협업에 의해 결정되므로 기업간 유기적 협력은 이미 생존 차원의 문제로 인식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흑자도산 위기에 처한 협력사의 경영을 모기업의 지원으로 정상화했고, 모기업과의 공동기술개발을 통해 부품 국산화와 협력사의 매출 증대를 이뤘다"면서 이같은 상생협력의 성공적인 사례로 삼성전자와 태산엘시디, 현대차와 모토닉, LG전자와 디케이, 포스코와 서울엔지니어링 등을 소개했다.
정 부회장은 협력사와의 동반성장에 필요한 조건으로 "협력사 지원이 경영애로 해소를 위한 자금지원 중심이라 자생력 강화 차원의 기술개발 지원 비중은 상대적으로 낮다"며 "아울러 1차 협력사 중심의 지원으로 2, 3차까지 협력 확산이 미흡하다"고 덧붙였다.
이에 따라 그는 "모기업과 협력사가 함께 성장해 나가야 하는 전략적 파트너로 인식하고 협력을 전사적 차원으로 확대해야 한다"면서 협력사의 자생력 확보를 목표로 기술 및 인력 협력을 강화하고, 공정한 거래 문화를 2,3차까지 확산해 나갈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한편, 전경련에 따르면, 국내 주요 업종별 1차 협력사 수가 자동차는 340개, 조선은 2300개, 휴대전화는 130개, 디스플레이는 170개에 이르는 현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