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지와 문어 등의 머리에서 다량의 중금속이 검출됐다.
서울시는 지난달 시중에 유통 중인 낙지, 문어 등 28건을 수거해 중금속 검사를 실시한 결과, 낙지와 문어의 머리에 이타이이타이병과 전립선암, 골연화 등을 유발하는 중금속 카드뮴이 많이 들어있어 먹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고 13일 당부했다.
대형마트에서 판매된 중국산 냉동 낙지의 머리에서도 카드뮴이 1㎏당 29.3㎎ 나오는 등 낙지 머리는 수입산 6건과 국산 3건 모두에 카드뮴이 기준치보다 높았다.
또한 낙지를 비롯해 문어 4건, 쭈꾸미 1건 등 머리에서 모두 카드뮴이 검출됐으며 문어 머리에서 1㎏당 31.2㎎이 검출되는 등 잔류허용기준(2.0mg/kg)을 15배 이상 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주꾸미 머리 1건과 명태와 생태, 대구의 내장과 알 14건은 카드뮴이 기준치 보다 적게 포함된 것으로 나타났다.
낙지머리와 생선내장 등은 먹지 않는 부위로 취급되며 그동안 안전검사에서 제외되었으나 연포탕과 내장탕 등을 통해 즐겨먹는 시민이 많다는 점을 감안해 이번에 실시됐다.
시 관계자는 "이번 결과를 식약청 등에 통보해 중금속이 많이 들어있는 연체류를 안전하게 먹는 방법 등을 알리고 제도를 개선할 방침"이라고 말하며 "낙지, 문어, 주꾸미 등 연체류를 구입해 요리할 때에는 머릿속 먹물, 내장 등은 반드시 제거할 것"을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