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韓 OECD 경기선행지수 8개월째 하락

우리나라의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경기선행지수(CLI)가 8개월째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CLI 자체는 16개월째 100 이상을 유지하고 있어 내년 상반기에는 경기회복 가운데 그 폭이 다소 둔화될 것으로 해석된다.

CLI는 산업활동 동향, 금융·통화 현황, 국내총생산(GDP) 흐름을 복합적으로 계산해 향후 4∼6개월 뒤의 경기 상황을 예측하는 지표다. CLI가 100 이상에서 상승하면 경기 팽창, 하락하면 경기 하강을 의미한다.

12일 OECD에 따르면 한국의 지난 8월 CLI는 102.5로 전월의 102.8보다 0.3포인트 하락했다. 우리나라의 CLI는 지난해 5월 100.6으로 100선을 돌파한 이후 12월 104.8로 정점을 찍고, 이후 계속해서 하락세를 보였다.

33개 회원국의 8월 경기선행지수는 102.9를 기록하며 전월보다 0.1포인트 하락, 2개월 연속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캐나다(-0.5포인트), 이탈리아.영국(-0.2포인트), 미국.프랑스(-0.1포인트) 등 OECD 주요 회원국도 전월 대비 CLI 지수가 감소했다.

이와 관련 OECD는 "최근 경기선행지수가 부진한 흐름을 보이고 있는 것은 세계 경기 둔화를 알리는 신호"라고 설명했다.

우리나라 경제도 내년 상반기부터 경기 회복 속도가 완만하게 둔화되기 시작, 내년 하반기 까지 이 같은 추세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앞서 국제통화기금(IMF)과 세계은행도 내년 세계 경제의 성장세가 둔화될 것으로 전망했다. 세계은행은 올해 전 세계 경제 성장률은 3.5%를 기록하겠지만 내년에는 3.3%의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했다. IMF는 세계 경제 성장률이 올해 4.8%에서 내년에는 4.2%로 낮아질 것으로 예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