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DTI 규제 후’ 아파트 경매시장 수도권·지방 역전현상

지난해 10월 총부채상환비율(DTI) 규제가 제2 금융권까지 확대된 이후 수도권과 지방 아파트 경매시장에서 역전현상이 일어나고 있다.

수도권 아파트는 경매시장에서의 인기가 떨어진 반면, 지방 아파트는 각종 경매지표들이 큰 폭의 증가세를 보이고 있는 것.

13일 경매정보업체 디지털태인(www.taein.co.kr)에 따르면 2009년 9월12일~10월11일 수도권아파트 낙찰가율(감정가 대비 낙찰가 비율)은 89.1%였지만, DTI 규제가 확대된 1년 후 같은 기간의 낙찰가율은 77.3%로 11.8%포인트 감소했다.

반면같은 기간 동안 서울·경기·인천을 제외한 지방 아파트 낙찰가율은 74.43%에서 83.08%로 8.65%포인트 상승했다.

디지털태인 측은 "낙찰받은 부동산을 담보로 잔금을 대출받는 이른바 '경락잔금대출'의 대부분이 제2금융권 중심으로 이뤄진다"라며 "수도권 지역에 한해 적용됐던 대출규제가 수도권 경매 시장을 위축시킨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어 "지방은 그간 시황이 부진했던 데다 풍선효과와 공급부족 현상이 겹쳐 낙찰가율이 올라간 것"이라고 설명했다.

실제로 수도권 아파트 낙찰가율은 DTI 규제가 제2 금융권까지 확대된 이후 한달 만에 3.77%포인트(89.12%→85.35%) 하락했다. 여기에 보금자리주택 사전청약, 입주쇼크, 어두운 집값 전망 등까지 겹쳐 대책발표 8개월이후에는 낙찰가율이 80% 밑으로 떨어졌다.

반면, 지방에서는 작년 말부터 부산, 울산, 경남지역을 중심으로 부동산시장이 살아나면서 2달만에 낙찰가율이 15%포인트(72.32%→85.55%)넘게 올랐으며 이후 85% 안팎을 유지하고 있다.

입찰경쟁률도 수도권은 0.3명 감소한 6.36명이지만 지방은 3.27명이 증가한 7.41명으로 나타났다.

디지털태인 이정민 팀장은 "경매시장을 하락 반전시킨 것은 DTI 규제 확대지만, 낙찰가율의 낙폭을 키운 것은 어두운 집값 전망과 매수심리 악화"라며 "8·29대책 발표로 실수요자와 투자자들이 몰리고 있어 수도권과 지방의 차이는 좁혀질 가능성이 크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