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경환 지식경제부 장관은 18일 터키 원전수출과 관련, "G20 정상회의 기간동안 가격을 포함한 양국 정부간 협약(IGA)을 체결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최경환 장관은 이날 기자간담회를 통해 "이번 터키 방문을 통해 교착상태에 있던 터키 원전 협상에 진전이 있었다"며 이 같이 말했다.
최 장관은 원전 건설에 필요한 자금조달 문제에 대해 "터키 원전은 세계 최초로 프로젝트 파이낸싱(PF) 방식으로 진행되는 원전 사업"이라며 "필요 재원의 30%는 설립되는 회사 자본으로, 나머지 70%는 PF로 조달한다"고 말했다.
그는 "우리쪽에선 PF의 투자 매력도를 높이기 위해 어느 정도 가격을 확보해야 한다고 터키 정부를 설득하고 있다"며 "현재 어느 정도 갭을 가지고 협상을 진행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한국의 지분참여와 관련, "터키가 경영권을 가져야 한다"며 "외국회사가 가서 어떻게 원전 짓고 허가 받고 하겠나. 외국계 기업이 원전사업을 말이 되나. 이 부분에 대해서도 80~90% 합의가 됐다"고 잘라 말했다.
최 장관은 또 원전사고에 따른 책임범위에 대해 "글로벌 스탠더드로 가자고 했다"며 "터키정부측 요구를 들어준다면 비용이 들고 결국 전기요금에 반영될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고 말했다.
그는 "국제기준을 중심으로 합의가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고 덧붙였다. 이와 함께 지난해 우리나라의 UAE 원전수주 이후 일본의 잇따른 '견제'도 암시했다.
최 장관은 당초 예정에 없는 터키방문을 일정에 추구한 것과 관련, "오는 11월 G20 정상회의 때 터키와 협약을 맺을 있도록 몇 가지 쟁점을 마무리 짓기 위해서였다"며 "일본에서 끼어드려는 낌새도 있어 쐐기를 박으려는 의도도 있었다.
협약이 마무리될 때까지 우리 협상단을 터키에 상주시키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최 장관은 "일본의 분위기는 우리나라가 아랍에미리트(UAE) 원전 수주 이후 크게 바뀐 것으로 안다"고 밝혔다.
그는 "일본의 경우 UAE에 이어 터키까지 뺏기면 위기에 빠질 수 있다는 분위기로, '한국은 대통령까지 나서는데 무엇을 하냐'는 정치권의 압력이 특히 큰 것으로 안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