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C&중공업 주가조작 의혹 수사

서울중앙지검 금융조세조사1부(부장검사 이석환)는 C&중공업 상장폐지 직전에 임병석 C&그룹 회장의 주가조작이 있었다는 고발건에 대해 수사 중이라고 26일 밝혔다.

현재 검찰은 고발장의 사실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금융감독원에 기초조사를 의뢰한 상태며, 조사결과가 나오는대로 관련 내용을 대검 중수부로 이첩할지 결정할 방침이다.

앞서 C&중공업 소액주주들은 지난해 9월 “C&중공업 상장폐지가 예상되는 상황에서 임 회장이 해외매각 소문을 퍼뜨리고 공시를 내 주가를 조작했다”며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위반 혐의로 임 회장 등 C&그룹 관계자 3명을 검찰에 고발한 바 있다.

소액주주들은 “C&상선이 C&중공업 주가가 급등하던 때인 2월 중순 C&중공업 주식 50여만주를 장내매도했다”며 “C&그룹 계열사들이 2008년 C&중공업 주식 80여만주를 장내에서 판 것 역시 상장폐지를 예상하고 미리 손실을 회피하려 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실제로 C&중공업 주가는 해외매각설이 퍼진 지난해 1월28일부터 2월19일까지 440원에서 3815원까지 급등했지만, 2월23일 C&중공업의 채권자인 한국허치슨터미널㈜이 법원에 파산신청을 한 사실이 확인돼 주가가 폭락, 결국 상장폐지 절차를 밟았다.

C&그룹은 주식회사 C&해운과 C&상선, 주식회사 C&우방 등 41개 계열사를 거느리고 있으며, 참여정부 시절 공격적인 인수·합병(M&A)으로 사세를 크게 확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