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물가의 선행지표로 사용되는 생산자물가가가 1년 10개월만에 최고의 상승률을 보였다.
한국은행은 9일 10월 생산자물가지수가 지난해 같은 달보다 5.0% 오른 것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이는 2008년 12월의 5.6% 이후 가장 높은 수치다.
생산자물가는 상품과 서비스가 출하될 때 집계되는 일종의 '도매물가'를 의미하며, 시간이 흐른 뒤 소비자물가에 반영되기 때문에 소비자물가의 선행지표로 사용된다.
한은 측은 농산물 가격 상승이 두 달째 이어졌으며, 지난해 하반기 농산물 가격이 내림세였던 것과 비교해 기저효과가 작용했던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농림수산품 상승률은 29.5%로 9월(29.6%)에 이어 높은 상승률을 보였다. 공산품과 서비스도 4.8%와 1.6%씩 올랐다.
농림수산품 가운데 채소류와 과실류가 115.7%와 66.4%씩 상승했다. 과실류 오름폭은 2004년 4월의 85.3% 이후 가장 크다.
특히 무와 배추가 312.4%와 276.0%씩 폭등하고 마늘이 166.4%가 오르는 등 김장 채소류가 오름세를 주도했다. 무는 2004년 8월(373.7%), 배추는 1988년 4월(347.2%) 이후 가장 큰 오름폭을 보였다.
아울러 토마토(168.0%), 피망(148.9%), 파(110.9%), 오이(110.5%), 호박(108.4%)도 높은 상승세를 보였다.
전월 대비로도 생산자물가는 7월 이후 4개월째 오르는 모습을 보였다. 다만, 상승폭은 9월(1.0%)보다 둔화한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