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2010 국립극장 <완창판소리>한승석의 <박봉술제 적벽가> 11월 공연!

국립극장(극장장 임연철)은 2010년 국립극장 대표 상설공연 <완창판소리>가 지난 3월 27일 달오름극장에서 염경애 명창의 김세종제 <춘향가>로 첫 문을 연 이래 여덟번째 공연을 맞이한다. 2010년 완창판소리의 11월의 주인공은 한승석의 <박봉술제 적벽가>로 오는 11월 20일 오후 3시 KB국민은행청소년하늘극장에서 만날 수 있다.

한승석 명창은 단단하면서도 위엄있는 소리를 엄정하면서도 정확하게 구사하는 노력파이다. 한승석 명창은 완창작업과는 별개로 판소리가 오늘의 관중과 호흡하며 소통해야 하는 방법에 대해서도 진지하게 고민하고 있다. 사실 국립극장 완창판소리 무대는 판소리 준문화재 이상, 대통령상 수상 이상이라는 제한된 참여조건이 있기에 그 품격이 유지되어 왔다. 하지만, 이번엔 대학의 판소리 전공 전임교수에까지 그 문호를 넓혀서 한승석 명창을 초청하였다. 한승석의 적벽가는 송만갑→박봉술→안숙선→한승석으로 이어지는 정통 동편제 <적벽가>의 계보를 잇는 것이다.

박봉술·안숙선·한승석으로 이어지는 사내들의 걸쭉한 이야기 <박봉술제 적벽가> 

<적벽가>는 본래 조선시대 무관들이나 병사들의 애환을 담고 있는 음악이다. 부모, 자식과 사랑하는 아내를 두고 전쟁터에 나온 사내들의 슬픔이 있고, 또한 무공을 다투는 호걸들의 무용담도 들어있다. 그리고 ‘화용도타령’에는 진짜로 민중들이 하고자 했던 이야기가 있다. 이런 난리통속에서 벌어지는 떠들썩한 사내들의 입담이 바로 적벽가이다.

이번에 한승석 명창을 통해 접하는 적벽가는 본래 박봉술-안숙선-한승석으로 전승된 것으로 음악적 구성이 탁월하여 현대 판소리의 백미로 일컬어진다. 박봉술 명창 이후로는 적벽가도 많이 변했는데, 송순섭, 김일구, 안숙선 등 손꼽는 현대 명창들이 모두 이 적벽가를 부르고 있다. 특히, 여류명창을 통해 전승된 적벽가가 한승석에 이르러 또 어떤 모습으로 드러날지 사뭇 기대해볼만 하다.  한승석 명창은 성량이 크고 음감이 뛰어나 적벽가의 우람한 스케일을 잘 표현하고 우조 성음을 정확하게 표현해낸다. 또한 원래 사물놀이를 했기 때문에 탁월한 리듬감을 가지고 있다.

문화재급 최고 명창들이 꾸미는 고품격 무대

국립극장(극장장 임연철)은 2010년 국립극장 <완창판소리>를 오는 3월 27일(토) 달오름 극장에서 염경애 명창의 김세종제 <춘향가>로 문을 열어, 12월 31일(금) 안숙선 명창의 정광수제 <수궁가>를 끝으로 막을 내린다. 국립창극단이 주관하며, 횟수로는 26회째를 맞은 <완창판소리>는 1845년 12월 ’신재효 100주년 기념공연‘을 정례화 한 것을 시작으로 그동안 200여명에 달하는 명창을 무대에 세우고, 총 관객 7만5천 여 명을 동원하며 국립극장을 대표하는 공연 중 하나로 자리 잡았다. 2010 국립극장 <완창판소리>는 <춘향가>,<심청가>,<수궁가>,<흥보가>,<적벽가>등 판소리 다섯 바탕을 다양하게 감상할 수 있는 유일한 기회다. 올해 <완창판소리>는 유파별로 균형을 이루고 있으며, 우리 판소리의 내용을 점검할 수 있는 의미 있는 무대가 될 것이다. 또한 최종민 교수와 최동현 교수의 해설은 판소리 감상의 길라잡이가 될 것이며 판소리 공연의 초보자들도 쉽게 이해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이다.

판소리의 대표 브랜드, 국립극장 <완창판소리>

국립극장 <완창판소리>는 심야완창판소리(8월 28일)와 제야완창판소리(12월31일)와 같은 기획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해를 거듭하면서 명실상부한 품격 있는 상설공연으로서 그 브랜드 가치를 드높이고 있다. 이제 국내관객들뿐만 아니라 외국인들도 공연장을 찾으면서 우리 소리의 깊은 맛을 널리 알리고 있다. 우리나라에 본격적인 판소리 완창 시대를 연 국립극장의 <완창판소리>는 역사와 전통이 말해주듯이 국립극장이 연간 상설공연으로서 그리고 무엇보다 한국을 대표하는 판소리 공연으로 그 이름이 더욱 확고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