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내년 저축銀 부실채권 5조3000억”

내년 저축은행의 부실규모가 5조원을 웃돌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17일 금융감독원이 국회 정무위원회에 제출한 구조조정기금예산안에 따르면 내년 저축은행의 신규 부실채권 규모가 5조3000억원에 달할 것으로 추정된다.

금감원은 저축은행의 정상·요주의 여신 증가율에 올해 상반기 부실채권 발생 추이를 적용해 이 같은 수치를 도출했다고 전했다.

금융당국은 저축은행의 부실 채권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공적자금인 구조조정기금 2조5000억원이 추가로 필요할 것으로 내다봤다.

5조3000억원 부실채권 가운데 자산관리공사(캠코)의 고유계정에서 7000억원을 매입하고, 나머지 4조6000억원의 부실채권은 장부가의 60%로 매입할 경우 2조5000억원이 소요된다.

앞서 정부는 지난 6월 구조조정기금을 통해 4조1000억원 규모의 저축은행 부실채권을 2조5000억원에 매입한 바 있다. 또 구조조정기금이 설립된 뒤 올해 9월말까지 저축은행 부실채권 매입을 위해 투입된 자금은 4조원에 달한다.

아울러 금감원은 내년 은행권의 부실채권은 27조4000억원에 달할 것으로 봤다. 다만, 올해 상반기 은행들이 부실채권의 80%를 자체 정리하고 20%를 시장매각을 통해 정리했다는 것을 감안하면, 내년에 나올 것으로 예상되는 27조4000억원 규모의 부실채권도 20%인 5조5000억원 정도가 시장에서 정리될 것으로 예상된다.

시장에 나올 5조5000억원의 은행권 부실채권 중 1조6000억원 어치는 민간에서 매입할 것으로 보이며, 나머지 3조9000억원은 캠코의 매입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공적자금관리위원회는 구조조정기금 가운데 은행권 부실채권 해결에 2조원을 배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공사 고유계정에서 매입할 4000억원 규모의 부실채권을 제외하고, 나머지 3조5000억원 어치의 채권을 60%의 매입률로 사들일 경우를 가정한 것이다.

이처럼 저축은행 부실 채권 해결에 정부가 막대한 예산을 투입, 국회 정무위원회에서 비판이 일기도 했다.

이에 진동수 금융위원장은 "은행은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PF) 대출이나 부동산 대출의 질이 좋고 시장에서 흡수된 것이 많아 예산은 적게 책정했다"라며 "반면 저축은행은 PF 채권의 질도 떨어지고 다른 데서 흡수가 안되기 때문에 불가피하게 구조조정기금에서 매입하고 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