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국세청, SK 세무조사 착수…배경에 관심

국세청 SK그룹에 대한 세무조사에 들어가 세간의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국세청과 SK는 정기적인 세무조사라고 입장을 밝혔지만, 일각에서는 탈세 등의 혐의를 잡은 것이 아니냐는 관측도 제기되고 있다.

특히 국세청은 SK그룹의 대표적 계열사인 SK텔레콤뿐만 아니라 사업적으로 연관이 있는 계열사에 대해서도 조사에 착고, 이번 세무조사가 다른 계열사나 그룹 차원으로 확대될 가능성도 거론되고 있다.

18일 국세청 등에 따르면 지난 16일 SK텔레콤과 SK텔레시스 등 SK그룹 통신계열사에 조사팀을 보내 세무조사를 벌였다. 아울러 SK텔레콤에 통신 중계기를 납품하는 계열사 SK텔레시스와 협력업체 두 곳도 현장조사를 진행중이다. 조사는 법인 세무조사를 담당하는 서울지방국세청 조사1국 주도로 이뤄지고 있다.

SK텔레콤이 지난 2006년 세무조사를 받았던 것을 감안하면 이번 조사는 보통 4~5년마다 한번씩 이뤄지는 정기세무조사로 파악된다.

하지만 첫날 지난 16일에 조사1국, 이틀 째인 17일에는 조사 4국 직원이 투입된 것으로 알려지면서 단순 정기조사가 아닐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조사 1국은 기업체에 대한 정기조사를 담당하지만, 조사 4국은 기획조사나 탈세관련 특별조사를 담당하고 있다.
 
때문에 국세청이 SK텔레콤에 대한 정기조사에 착수했다가 특별조사로 방향을 바꿀 가능성이 있다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특히 지주회사인 SK㈜에도 SK텔레콤과 같은 날 조사인력을 투입해 현장 조사를 벌인 것으로 확인됐다. 이번 조사는 SK그룹의 통신계열사간의 거래는 물론 SK텔레콤의 투자, 자금 흐름 등과 연관된 자료를 살피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서 세무조사가 그룹 전반의 자금흐름을 살피는 방향으로 확대될 여지도 남아있는 것이다.

한편, 국세청과 SK그룹은 이번 SK텔레콤 조사에 대해 4년 주기로 실시되는 정기세무조사라고 밝혔다. 아울러 SK㈜조사에 대해서는 SK텔레콤 조사 과정에서 사업과 관련된 자료를 확인하기 위한 것이라는 게 SK그룹의 입장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