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프랑스에 보관중인 조선시대 문화재 '외규장각 도서'의 반환 문제가 난항을 겪고 있다.
지난 12일 이명박 대통령과 니콜라 사르코지 프랑스 대통령이 약탈당한 외규장각 도서를 사실상 한국에 반환키로 합의했지만 소장하고 있는 파리 국립박물관(BNF) 관계자들이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BNF 사서 11명은 18일 프랑스의 일간지 라 리베라시옹 인터넷판을 통해 '의궤 관련 BNF 직원들의 성명문'을 내고 이 대통령과 사르코지 대통령의 합의에 대해 반대한다는 입장을 드러냈다"고 보도했다.
이에 문화재 반환을 주장하는 국민들은 프랑스 BNF 사서들의 반응에 황당함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연합뉴스는 BNF 사서들은 이번 결정은 우리가 요구한 '상호 등가' 또는 '그에 상응하는 대가'가 있는 형식을 무시하고 '5년 단위 갱신 대여'라는 포장을 했다며 '대여가 아닌 사실상 반환'이라고 전했다.
이어 연합뉴스는 BNF 사서들의 주장을 인용해 "이들은 이번 결정은 국내법과 상충되는 것이며 이를 계기로 세계 박물관과 도서관 등에서 벌어지고 있는 다른 나라들의 문화재 반환 요구를 부추기는 꼴이 된다고 비판했다"고 보도했다.
이 언론매체는 BNF 사서들의 성명에 대해 "이 결정은 공공자산을 절대 양도하지 못하도록 하는 원칙을 훼손시켰다"며 "문화재 정책과 관련법을 정치, 경제 전략적 목적에 종속시키고 있다는 우려를 단적으로 보여주고 있다"는 내용을 밝혔다.
이미 BNF사서들은 프랑스 언론 라 리베라시옹 신문 등 프랑스 언론을 통해 "사르코지 대통령의 갑작스런 한국 고문서 반환 발표가 BNF 사서들의 분노를 사고 있다"고 고발하며 한국의 외규장각 도서 반환에 대해 비판했다.
연합뉴스는 프랑스 언론 '라 리베라시용'의 기사내용을 인용해 "공공자산으로 절대 양도할 수 없는 이 문화재를 사실상 반환키로 한데 대한 BNF의 반발은 그 형식과 내용 모두에 해당한다"며 "사르코지 대통령이 문화재 유출 금지 원칙을 교묘히 우회해 '5년 단위로 갱신이 가능한 무제한 대여' 형식으로 '반환'키로 했기 때문이다"고 현지 언론과 BNF사서들의 입장을 전했다.
이미 정부는 외규장곽 도서 반환을 수차례 요구했지만 프랑스 BNF측이 수용하지 않고 계속 미뤄왔다.
BNF 사서들은 외규장각 의궤들 가운데 몇 권이 5년 후 파리에서 열리는 전시회에 포함될 수 있다고 하지만 아무도 이를 믿지 않고 있고 이 의궤들은 다시 BNF에 돌아오지 않을 것이다고 반발하고 있다고 연합뉴스가 전했다. (사진=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