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남구(구청장 신연희)가 5,410억원 규모의 내년도 예산을 확정했다.
이는 금년도 최종예산 대비 약 15%인 973억 원이 감소한 규모인데 내년부터 재산세공동과세에 대한 보전금 지원이 없어지기 때문에 긴축재정이 불가피했다는 것이 강남구의 설명이다.
특히 강남구는 내년도 모든 사업의 규모를 줄이는 상황인데도 일자리창출, 지역경제활성화, 보육 및 복지지원 등 주민생활과 직접 관련이 있는 예산은 오히려 확대했다.
우선 일자리 창출 등 지역경제 활성화에 104억 원을 편성하였는데 기존의 공공근로 등 저소득층 재정 지원형 일자리창출 사업 외에도 경제위기로 실업률이 가장 높은 세대인 청년층 일자리창출 예산을 대폭 확대 편성했다.
보육 및 복지예산은 전년대비 46억 원이 증가한 1,590억 원을 편성하였는데, 아이를 잘 낳지 않아 심각한 사회문제가 되고 있는 저출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보육시설 확충 ▲출산양육 지원금 교부 ▲ 65일 24시간 공공보육시설 운영 등 보육관련에만 545억 원을 편성했다.
아울러 구는 사회적으로 소외된 저소득층을 위한 ▲생계지원 ▲장애인 연금지원 고령화 사회에 대비한 ▲세곡동 어르신 행복타운 조성 등의 사업예산으로 866억 원을 편성하였다.
그리고 공교육에 대한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교육관련 예산으로 151억 원을 편성, ▲노후된 학교시설 개선 ▲원어민 영어강사와 수학 전문교사 확대 ▲학교 보안관제도 운영 등 대표적인 사업에 지원된다.
다만 최근 논란이 되고 있는 무상급식 관련 예산은 서울시와의 정책 보조를 맞추기 위해 편성하지 않았으며 기존처럼 저소득층 자녀에 대한 급식비 지원 예산은 전년 대비 확대 편성했다고 구는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