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정부, 삼성·LG전자와 손잡고 토종 모바일 OS 개발

[재경일보 김상고 기자] 정부가 삼성전자와 LG전자 등 국내 IT기업들과 손잡고 공동으로 개방형 토종 모바일 운영체제(OS) 개발에 나선다.

최근 인수합병(M&A) 등으로 몸집을 불리고 있는 구글과 애플 등과 맞설 수 있도록 국내 IT 산업, 특히 모바일 OS의 경쟁력을 키우겠다는 것이다. 

22일 김재홍 지식경제부 성장동력실장은 기자들과 만나 “3차 월드베스트소프트웨어(WBS) 프로젝트 일환으로 삼성전자와 LG전자가 참여하는 모바일 OS 개발 컨소시엄을 구성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김 실장은 “정부의 역할은 소프트웨어 산업 발전을 가로막는 빈약한 생태계를 바꾸는 것”이라며 "공동 OS 개발에 부정적이던 삼성도 구글의 모토로라 인수합병 이후 시각이 많이 바뀌었다"고 밝혔다.

WBS 3차 프로젝트는 정부의 지원으로 한국형 OS 개발을 위해 오는 10월 출범하는 연구개발 프로젝트로, 삼성전자와 LG전자, 팬택 등 하드웨어 업체와 통신사 등이 대거 참여할 것으로 보인다.

이번에 정부가 주도하는 공동 OS는 구글의 안드로이드와 같은 개방형 모델로, 모바일과 함께 크롬 OS와 같은 웹 기반 OS도 포함할 것으로 알려졌다.

국내에도 삼성전자의 '바다'와 같은 자체 개발 OS가 있지만 폐쇄형에 머물러 생태계 구축이 미진한 만큼 장기적인 시각에서 다양한 플랫폼을 아우를 수 있는 개방형 토종 운영체제 개발을 추진하겠다는 뜻이다.

김 실장은 “안드로이드나 iOS는 전 세계 몇십억이 이용하고 있지만 국내 OS는 이 같은 생태계가 형성되지 않아 고전 중”이라며 "이번에 개발하는 OS는 개방형으로 가야 한다"고 설명했다.

또 "모바일에서 궁극적으로는 구글 크롬처럼 웨 기반까지 생각해야 한다"며 “삼성도 자체 개발작인 바다 OS를 개방형으로 바꿀지 고민 중인 것으로 알고 있다”고 설명했다.

정부 주도의 공동 OS 컨소시엄은 구글의 모토로라 모빌리티 인수 이후 심화된 정부 당국과 국내 IT 기업의 위기감을 반영한 것으로 풀이된다.

김 실장은 국내 기업들이 현 상황에 대해 심각하게 생각하지 않는다며 “장기적으로 구글이 스마트 기기 제조산업에 뛰어들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부정적인 전망을 내놓기도 했다.

그는 국내 IT 경쟁력이 부실하다는 지적에 대해 “최근의 하강곡선은 국내 IT 경쟁력의 문제라기보다 일본 지진, 유럽 금융 위기 등 수요 감소로 인한 것”이라며 “정부도 관련 문제를 인식하고 앞으로 열심히 해 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