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경일보 김상고 기자] 삼성전자가 올해 2분기 세계 D램 시장에서 사상 최고의 점유율을 기록한 것으로 집계됐다.
하이닉스도 자체 최고 점유율을 기록하며, 한국 기업이 점유율 65%를 차지하는 강세를 보였다.
4일 시장분석 전문기관인 아이서플라이의 'D램 다이나믹스' 보고서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2분기 세계 D램 시장에서 41.6%의 사상 최고 점유율을 기록하며 1위를 유지했다.
삼성전자는 지난 1분기 D램 시장 점유율이 39.7%로 하락, 40% 밑으로 떨어지며 시장 지배력이 다소 주춤한 모습을 보였었다.
하이닉스도 D램 시장에서 확고한 2위를 지키며 선전했다. 특히 2분기 시장 점유율은 23.4%로 자체 최고 점유율을 기록했다.
엘피다가 14.6%의 점유율로 3위를 차지했고, 이어 마이크론(10.6%), 난야(4.7%), 윈본드(1.3%) 등 순이었다.
아이서플라이는 또한 삼성전자와 하이닉스의 시장 점유율을 합치면 모두 65%로, 일본 반도체 기업들의 점유율이 1980년대 후반 75%까지 이르렀던 것을 제외하고는 단일 국가로서 최고 수준이라고 지적했다.
아이서플라이는 "삼성이 지난 10년간 확실하게 세계 D램 시장을 지배해 왔다"며 "삼성과 하이닉스는 연말까지 D램 시장에서 점유율을 강화할 전망이고, 대만 업체들은 D램 시황이 회복되지 않는 상황에서 일정한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을지 의문시된다"고 덧붙였다.
한 관계자는 "D램 가격이 하락세를 거듭하는 상황에서도 한국 기업들이 여전히 시장 장악력을 유지하며 오히려 매출이 늘어날 수 있는 것은 제품 다변화와 기술개발로 우위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이라며 "당분간 한국의 D램 시장 지배는 계속될 것"이라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