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獨언론, 한국재벌 집중조명... "韓 대기업, 세계시장 잠식"

[재경일보 이호영 기자] “한국의 재벌은 일종의 도발이다. 경영이론에 따르면 이 공룡들은 오래 전에 사망했어야 한다. 하지만 세계 속도를 무서운 속도로 잠식해가며, 서구경영자들이 가장 두려워하는 공포의 대상으로 떠올랐다.”

29일 독일 시사 주간지 슈피겔의 자매 월간지인 매니저 마가친(Manager Magazin)은 10월호에서 4개 지면을 통해 한국 경제를 이끌어가고 있는 재벌의 성공 신화와 그 명암에 대해 집중 조명했다.

특히 이 잡지는 “탄탄한 중소기업들이 떠받치는 독일의 산업 구조와 비교하면 한국 재벌이 그리 건강해 보이지는 않지만, 세계 시장을 빠른 속도로 잠식하며 성공해 가는 모습은 매우 경이롭다”는 시각으로 한국의 재벌에 대해 접근했다.

‘문어의 나라’라는 제목의 기사에서 이 잡지는 “한국만큼 소수 기업집단이 강력한 지배력을 발휘하는 선진국은 없다. 문어발식으로 확장해온 이들 재벌은 국내총생산의 40%를 차지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그러면서 “서구 경영자들은 이미 오래전부터 일본이 아닌 매우 강력한 한국기업들을 두려워하고 있다”며 “애플이 경쟁기업인 삼성전자를 소송전으로 끌어들인 것은 자신들의 공포를 드러낸 것”이라고 해석했다.

글로벌 자동차메이커 폴크스바겐의 마르틴 빈터코른 최고경영자(CEO)가 “도요타가 아닌 현대가 가장 두려운 경쟁자다. 현대는 전 세계를 공략하고 있다”고 이 잡지는 전했다.

최근에는 유럽 최대 자동차업체인 프랑크푸르트모터쇼에서 현대자동차 전시부스를 찾아 현대차 준중형 해치백 i30를 꼼꼼히 살펴본 뒤 그 기술력에 놀라며 임직원들을 질책하는 듯한 내용이 담긴 빈터코른 회장의 유투브 동영상이 화제가 되기도 했다.

“과거 재벌은 발명가가 아닌 모방에 불과했지만, 더 이상 빠른 추격자가 아니라 이미 선도자가 됐다. 스스로 트렌드를 조성한다”는 로널드 빌링거 매킨지 서울사무소장의 평가도 소개했다.

매니저 마가친은 "재벌의 성공으로 한국의 경제성장률이 다시 4∼5%에 이를 정도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가장 빠르게 글로벌 경기침체에서 벗어나고 있다"며 "‘한국식 모델의 성공’은 한국의 역사에 기반을 두고 있다"고 진단했다.

전쟁으로 폐허가 된 한국이 1960년대 초반까지만 해도 아프리카의 가나와 비슷한 수준의 빈국이었지만, 반(反) 시장경제 주의자인 박정희 대통령이 차관을 얻어 기업을 지원했고, 삼성, LG, 포스코, 현대 등이 바닥에서부터 기적을 일궈냈다고 소개했다.

또 이 잡지는 현 대통령인 이명박 대통령이 현대 출신이라며 정치계와 대기업 간의 교류가 활발하다는 점을 강조했다. 그리고 최근 정부가 미래 성장동력으로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친환경 기술'과 '의료산업'을 예로 들면서 관료들이 결정하면 경영자들이 이를 시행하는 완전히 다른 방식으로 한국은 움직이고 있지만, 그럼에도 성공적이라는 것이 이 잡지의 평가다.

그러나 이 잡지는 대기업 중심의 산업구조가 갖는 위험성도 경고했다. 구체적으로 “재벌은 창업자 가문들에 의해 적은 지분으로 통제되고 있으며, 전문가들조차도 기업경영구조를 파악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또 “한국인들은 위험성을 판단하는 데 미숙하다”는 위르겐 뵐로 한독상공회의소 소장의 말을 전하면서 한국 기업들이 독일기업들보다 더 자주 ‘실험과 오류’ 방식을 따른다고 평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