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경일보 조영진 기자] 대우조선해양이 19억5천만 달러(2조2천500억원) 규모의 고정식 해양플랫폼과 드릴십을 한꺼번에 수주하며 올해 수주 목표액인 110억 달러를 초과 달성했다.
대우조선해양은 지난 14일 세계적인 석유회사 셰브론으로부터 14억 달러(1조6천100억원) 규모의 천연가스 생산용 고정식 해양 플랫폼을 수주한데 이어 15일에는 미주지역의 한 해양시추회사로부터 5억5천만 달러(6천400억원) 규모의 드릴십 1척도 수주했다.
이번에 수주한 해양플랫폼은 3만7천t 규모의 상부구조물과 이를 받쳐주는 2만7천t 규모의 철강 하부구조물 등으로 구성된 것으로써, 가스분리설비와 탈수, 압축처리설비 등을 갖추고 하루 약 5천500만㎥의 천연가스를 정제할 수 있다.
이 해양플랫폼은 옥포조선소에서 건조돼 2014년 하반기까지 인도되며, 이후 호주 북서부 온슬로우시에서 북쪽으로 200km 떨어진 해상에 있는 윗스톤 필드에서 운영된다.
대우조선해양은 플랫폼 상·하부구조물을 포함한 프로젝트 전체를 일괄 도급(턴키) 방식으로 계약해 플랫폼의 설계와 구매, 시공, 설치까지 전 과정을 맡게 됐다.
대우조선해양은 이로써 셰브론으로부터 10기의 해양플랫폼과 1기의 부유식 원유생산저장설비(FPSO) 등 총 11건의 해양 프로젝트를 수주했으며, 8기의 해양플랫폼 및 FPSO를 인도했다.
대우조선해양측은 오랜 기간 동안 서로 협력관계를 쌓아온 양측이 큰 이견 없이 협상 계약을 진행해 순조롭게 수주를 할 수 있었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이번에 수주한 드릴십은 대우조선해양이 자체 개발한 기술(DSME-12000형)로 제작되며 최대 수심 1만2천 피트(3천600m)의 심해 시추 작업을 위해 최적화된 장비와 설계가 적용됐다.
이를 위해 기존보다 약 1천t이 더 많은 최대 3천200t 무게의 시추 파이프와 보호관을 실을 수 있고, 2개의 시추 타워를 적용해 하나의 유정을 시추할 때 각 타워별로 시추작업과 파이프 조립작업을 동시에 진행할 수 있어 작업시간을 25% 이상 단축시킬 수 있다.
대우조선해양은 이번 해양플랫폼과 드릴십 수주로 올해 총 44척·기, 약 120억 달러 상당의 선박 및 해양 설비를 수주하게 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