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국민 37% "유산 기부하겠다"… 36%는 기부 경험

[재경일보 김혜란 기자] 최근 1년간 현금이나 물품을 기부한 경험이 있는 국민이 100명 가운데 36명이었고, 유산을 기부할 의사를 가진 국민도 37.3%나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은 24일 '2011년 사회조사 결과(나눔문화)'를 통해 13세 이상 인구 중 최근 1년 동안(2010년 7월~2011년 7월) 기부 경험이 있다는 응답자가 36.4%였다고 밝혔다.

기부형태(복수응답)는 현금이 34.8%였고, 물품이 8.5%였다.

1인당 평균 기부 현금은 16만7천원이었고, 현금 기부자의 31.2%는 주기적으로 기부한다고 답했다.

물품은 평균 기부횟수가 3.4회였고, 주기적으로 기부하는 비율은 34.6%다.

기부 이유로는 '어려운 사람을 돕고 싶어서'가 43.3%로 가장 많았고, '기부단체·직장 등 요청'(28.3%), '개인적 신념'(14.9%)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기부 희망 분야는 사회복지가 82.2%로 가장 많았고, 의료(32.1%), 국외구호활동(24.5%), 지역사회발전(20.4%) 등이 뒤를 이었다.

'기부할 의향이 있다'는 응답자는 45.8%, '유산을 기부할 의향이 있다'는 사람은 37.3%였다. 특히 유산 기부 의향은 60대 이상에서 78.8%가 없다고 답했지만 10대는 49.2%가 있다고 응답했다.

기부문화 확산 요인으로는 '사회지도층과 부유층의 모범적 기부 증대'(54.8%)를 가장 많이 꼽았고, '기부단체의 자금운용 투명성 강화'(20.6%), '나눔에 대한 인식 개선'(16.1%) 등이 뒤를 이었다.

기부하지 않은 사람들은 '경제적 여유가 없어서'(62.6%), '기부에 관심이 없어서'(18.6%), '기부단체를 신뢰할 수 없어서'(8.9%) 등의 순으로 답했다.

한편, 지난 1년간 '자원봉사활동에 참여한 적이 있다'는 응답 비율은 19.8%다. 연령대별로는 10대가 77.7%로 가장 높고 60대가 7.2%로 최저치였다.

자원봉사 참여 분야는 아동·청소년·노인·장애인 등이 58.2%로 절반 이상이었다. 환경보전·범죄예방 등 관련 분야는 20.6%로 그다음이었다.

성별로는 자녀교육 관련분야 봉사에 남자는 1년간 9.3회, 여자는 아동, 청소년, 노인, 장애인 등 관련 분야에 7.9회 참여했다.

자녀교육 분야는 20대(10.6회), 환경보전·범죄예방 분야는 40대(8.7회), 60대 이상(8.8회)이 자주 참여했다.

자원봉사자의 45.9%는 주기적으로 참여한다고 응답했고, 자원봉사활동을 알게 된 경로는 직장·학교가 52.4%로 가장 많았다.

자원봉사활동의 1회 평균 참여시간은 4.4시간, 연평균 참여횟수는 7.1회인 것으로 나타났다.

1회 평균 봉사 시간은 여자가 4.3시간, 남자가 4.6시간이었고, 연령별로는 20대가 5.3시간으로 가장 길었다.

분야별 평균 참여시간은 '재해지역 주민돕기와 시설복구'가 5.2시간으로 가장 길었고, 이어 '국가·지역행사'(4.6시간), '아동·청소년·노인·장애인 관련(4.0시간) 순이었다.

재해지역 주민돕기와 시설복구에 대부분 연령대가 참가했지만, 10대는 국가·지역행사(4.2시간)에 가장 많이 참여했다.

& 기부와 자원봉사

기부는 개인이나 단체에 현금이나 물품을 대가 없이 자발적으로 제공하는 것을 말한다. 경조사비, 종교단체 운영목적인 헌금·시주, 정치후원금 등은 제외된다.

자원봉사는 무보수성, 자발성, 공익성, 비영리성의 원칙에 따라 수행한 것이다. 위법행위로 벌금 대신 공공봉사 명령을 받은 것은 제외됐고 중·고교생의 자원봉사활동 등은 포함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