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포털뉴스 주 이용자는 '30대 대졸 화이트칼라 남성'

[재경일보 김윤식 기자] 포털뉴스의 주 이용자가 30대 화이트칼러 남성이라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그리고 남성은 네이버 사용 비중이 더 높았고, 여성은 네이트 사용 비중이 더 높았다.

11일 지난 7월 한달간 포털 뉴스 이용자를 분석한 한국언론진흥재단의 연구보고서 '포털뉴스 유통현황 연구'(책임연구 조화순 연세대 정치외교학과 교수)에 따르면, 네이버, 다음, 네이트 등 3대 포털사이트의 뉴스섹션 이용자는 남성이 55.2%, 여성이 44.8%를 차지했다.

연령대별로는 30~39세가 26.4%를 차지해 가장 많았으며, 40~49세가 23.8%, 19~29세가 21.4%, 18세 이하가 14.0%으로 각각 집계됐다.

직업별로는 화이트 칼라가 45.1%로 절반 가까이를 차지했으며, 최종학력으로는 대학졸업자가 60.9%로 가장 많았다. 월가구소득별로는 300만~499만원이 전체의 43.3%로 가장 비중이 컸다.

이 같은 경향은 인터넷 이용이 많은 사람들만을 대상으로 했을 때 더 뚜렷했다.

월간 방문회수를 기준으로 상위 25%의 '핵심 인터넷 이용자'를 대상으로 조사했더니 남성이 63.6%나 돼 여성을 큰 차이로 앞섰으며, 30~39세가 차지하는 비율도 30.9%로 커졌다.

또 직업별로 화이트 칼라는 56.3%로 절반을 넘었으며, 최종학력 대졸은 69.1%, 월가구소득 300만~499만원은 43.1%였다.

뉴스섹션의 이용자들을 각 포털사이트별로 나눠 살펴보면, 남성 비율은 네이버가 여성 비율은 네이트가 가장 많았다.

남성 비율은 네이버가 57.9%를 차지했으며, 다음이 55.2%, 네이트가 52.3%를 각각 기록했다. 여성 비율은 네이트(47.7%), 다음(44.8%), 네이버(42.2%) 순이었다.

화이트칼라와 대학졸업자, 월가구소득 500만원 이상의 고소득자 비율은 모두 다음이 가장 높았으며, 네이버와 네이트가 뒤를 이었다. 초ㆍ중ㆍ고등학생이 차지하는 비율은 네이버(18.4%), 네이트(18.2%), 다음(15.0%) 순이었다.

연구진은 이들 포털의 메인화면에 게재된 뉴스를 연성과 경성으로 나눴는데, 연성뉴스의 비중은 네이버가 57.8%로 가장 컸고, 네이트(53.8%), 다음(46.2%) 순이었다.

기사의 길이는 200자 이하의 짧은 기사가 전체의 절반을 넘는 52.0%나 됐지만 1천자 이상의 기사는 2.6%에 그쳐 온라인이 종이 신문보다 공간의 제약이 덜함에도 불구하고 장문의 기사는 적었다.

한편, 메인 페이지의 기사에 달린 광고를 내용별로 분류한 결과 다이어트(10.8%), 제약 및 의료(10.1%), 성인용품(8.9%), 화장품 및 보건/뷰티헬스(8.1%), 성형(7.2%) 순으로 많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