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경일보 김윤식 기자] 지식경제부는 최근 클라우드 컴퓨팅 확산으로 이용량이 급증하고 있는 데이터센터의 전력 소비량이 과도한 것으로 파악됨에 따라 전기 소비량이 많은 데이터센터에 대해 내년부터 '그린 데이터센터 인증제'를 도입하기로 했다고 19일 밝혔다.
그린 데이터센터 인증을 받은 업체는 공공기관 클라우드 컴퓨팅 구축 사업 참여 등에 우선권을 얻게 된다.
지경부에 따르면, 대형 데이터센터 1곳의 연간 전력사용량은 평균 4만MWh로, 이는 1천MW급 원전 1기가 이틀간 지속적으로 발전해야 생산할 수 있는 전력량이다. 전기료로 환산하면 28억원 규모.
특히 국내 데이터센터의 전력사용효율(PUE)은 평균 2.3으로 추정되는데, 이는 1.1인 구글 데이터센터와 1.07인 페이스북 데이터센터에 비해 큰 격차라 지적이다. PUE는 총전력량을 IT장비 전력량으로 나눈 수치로 1에 가까울수록 에너지 효율이 높은 것이다.
지경부는 그린 데이터센터 인증 기준을 미국 500개 데이터센터의 평균 PUE값인 1.8 또는 국내 데이터센터 PUE의 상위 30% 수준으로 책정할 계획이며, 이를 위해 지경부는 내년 3분기까지 국내 데이터센터들의 PUE를 조사할 계획이다.
지경부는 또 국내 데이터센터의 약 80%가 서울·경기 등 수도권에 밀집해 있어 전력부하 불균형 문제를 일으킨다고 보고, 내년부터 수도권 소재 데이터센터에 일반용 요금을 적용해 전력절감 및 지방 이전을 유도하기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