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경일보 박우성 기자] 애플이 디지털교과서를 출시하며 본격적으로 교육산업에 뛰어들 것으로 보인다.
월스트리트저널(WSJ) 등 미국 언론들은 17일(현지시간) 애플이 오는 19일 뉴욕 구겐하임 박물관에서 아이패드에 최적화된 교과서와 출판업자들과의 제휴 등을 공개할 예정이라고 보도했다.
애플은 기존의 비밀주의를 고수하며 이번 행사에 대해 구체적인 언급을 하고 있지 않지만 업계와 전문가들은 디지털 교과서 등 교육 콘텐츠 등과 관련 내용을 발표할 것으로 보고 있다.
WSJ는 아이패드를 공개할 때 애플은 이 기기가 학교 교실에도 변화를 몰고 올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한 바 있다는 것을 언급했다.
올씽스디지털은 앞서 "강연과 수업, 기타 교육적인 콘텐츠를 제공하는 아이튠스U와 긴밀한 연관성이 있을 것"이라고 추정했다. 이 매체는 애플이 이날 아이패드상의 교과서를 발표할 것으로 내다봤었다.
또 한 출판업계 관계자는 “애플은 전자책 형태의 교과서를 만들기 위해 오랫동안 준비해왔다”며 “애플의 교육 사업과 관련해 2개의 큰 프로젝트가 발표될 것으로 보인다. 이른바 아이텍스트북(iTextbook)이 나오는 것”이라고 주장했었다.
교과서는 애플의 창업주 고(故) 스티브 잡스가 생전에 `바꾸고 싶어하던 3가지' 중 하나이기도 했었다. 월터 아이작슨이 집필한 전기에 따르면, 스티브 잡스는 재창조하고 싶은 세 가지가 있었는데 바로 텔레비전과 교과서, 사진이었다.
그는 전기작가 월터 아이작슨에게 "모든 교과서는 디지털화되고 쌍방향화되어야 하며, 개별 학생들에게 맞춤식으로 이뤄지고 실시간 피드백이 가능해야 한다"며 교과서 디지털버전을 만들어 교과서 산업을 변화시켜보고 싶다고 밝혔다.
그는 이와 같은 자신의 아이디어를 구현하기 위해 생전에 여러차례 교과서 출판업자들과 만남을 가졌던 것으로 전해졌다.
행사 장소가 실리콘밸리가 아닌 뉴욕의 굿센하임 미술관이라는 부분도 눈에 띈다. 구겐하임 박물관은 과거 애플이 뉴스코프와 함께 `더 데일리'를 발표했던 장소이기도 하다.
이번 행사는 아이튠스와 앱스토어, 아이북스토어 등을 담당하는 에디 큐 선임부사장이 담당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번 애플의 발표가 교육산업 전반에 광범위한 영향을 줄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업계는 분석했다.
MBS디렉트 디지털의 로브 레이놀즈는 올해 전체 교과서의 6% 정도만이 디지털화돼 있지만 2020년에는 디지털 교과서와 교육콘텐츠가 전체 교과서 시장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게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교육출판업체인 맥그로힐과 피어슨, 센게이지 러닝 등은 지난 6월부터 애플과 이번 발표와 관련해 협력을 해왔다고 소식통들은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