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부하 직원 금품 비리 의혹에 최시중 방송통신위원장 사퇴

[재경일보 박우성 기자] 최시중 방송통신위원장이 27일 최근 불거진 측근 비리 의혹에 대한 책임을 지고 위원장직에서 전격 사퇴했다. 하지만 이번 의혹 제기에 대해 불만을 표하기도 했다.

최 위원장은 이날 오후 4시 서울 종로구 방통위 기자실에서 긴급 기자회견을 갖고 "사임발표가 갑작스러워 보이기는 하지만 지금이 제가 떠나야 할 때"라며 "마무리하지 못한 사업이 있지만 모든 육체적, 정신적 정력을 소진했기에 표표히 떠나고자 한다"고 말했다.

그는 특히 사퇴의 직접적인 원인이 된 부하 직원 금품 비리 의혹에 대해 "연초부터 제 부하 직원이 금품 비리에 연루됐다는 의혹이 언론에 크게 보도됐다"면서, "검찰이 김학인 한국방송예술진흥원 이사장을 기소했으나 부하직원에 대해서는 별다른 혐의가 나오지 않았다는 언론보도를 봤다. 말이란 참 무섭다. 소문을 진실보다 더 그럴듯하게 착각하게 만든다"고 비판하기도 했다.

그는 나아가 "(측근 비리의혹이 불거진 과정에서) 방통위 조직 전체가 자긍심에 큰 상처를 입어 참담함을 금할 수 없다"면서 "지난 4년간 방통위의 정책과 여러 제도 개혁들에 대해 찬성하지 않는 분들이 계실 것이고, 저에게 섭섭한 마음을 갖게 된 분들이 계시다면 혜량을 바랄 뿐"이라고 말했다.

그는 자신의 퇴임으로 방통위의 정책들이 발목 잡히는 것에 대해 우려를 나타냈다.

최 위원장은 "저의 퇴임이 방통위가 외부의 편견과 오해로부터 벗어나는 계기가 되고 새로운 도약을 위한 디딤돌이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라면서 "저로 인해 방통위 조직 전체가 외부로부터 부당한 공격을 당하거나 스마트 혁명을 이끌고 미디어산업 경쟁력을 강화시킬 주요 정책들이 발목을 잡혀서는 안된다고 생각한다"고 지적했다.

재임 기간 동안 추진한 사업들에 대해 자부심도 드러냈다.

그는 "재임기간 내내 방송통신산업이 앞으로 후손들의 20-30년 후 먹거리가 될 것이며, 지금 그 초석을 다져야 한다는 믿음을 갖고 일해왔다"면서 "그렇기에 다소의 반대가 있었지만 방송산업 개편을 시도했고 스마트 혁명의 흐름을 선도하기 위해 노력했다. 최선을 다했기에 후회는 없다"는 심경을 밝혔다.

이명박 대통령의 '정치적 멘토'로 불리던 최 위원장은 지난 2008년 3월 방송통신위원회 설립과 동시에 초대 위원장에 취임, 3년10월간 장기 재직해 오면서 방송통신 정책을 주도해 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