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경일보 박우성 기자] 삼성전자가 지난해 사상 최대 매출을 올린 가운데, 스마트폰과 태블릿PC 등 스마트 기기가 실적을 주도했다는 평가다.
27일 삼성전자에 따르면, 이 회사의 지난해 연간 매출 165조원 가운데 통신부문 매출이 55조5천300억원으로 전체의 무려 3분의 1을 차지했다.
영업이익에서는 통신부문 의존도는 더 커, 통신 부문의 영업이익이 전체 영업이익 16조2천억원의 절반 이상인 8조2천700억원이나 됐다.
4분기 실적에서도 통신부문은 매출 17조8천200억원, 영업이익 2조6천300억원을 기록하며 전체 매출 47조3천억원, 영업이익 5조3천억원의 상당 부분을 차지했다.
삼성전자는 이날 가장 관심을 모았던 스마트폰 판매량을 공개하지 않았지만, 지난 분기 대비 30% 이상 성장했다고 밝혀 판매량의 추정은 가능하게 했다.
미국의 시장조사기관 SA(Strategy Analytics)가 발표한 삼성전자의 지난 3분기 판매량이 2천810만대 수준이었다. 따라서 4분기 스마트폰 판매량은 3천650만대 안팎일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삼성전자의 이 같은 호성적은 스마트폰 라인업을 다양하게 구성한 전략이 주효했다는 평가다.
지난해 삼성전자는 전략 스마트폰 역할을 했던 스마트폰 '갤럭시S2'가 전 세계적으로 1천만대 이상 팔려 '글로벌 밀리언셀러'로 등극하는 등 강세를 보인 가운데 'LTE폰'과 '갤럭시노트' 등 프리미엄(고급형) 스마트폰과 '갤럭시Y', '갤럭시M 스타일', '갤럭시 에이스' 등 보급형(저가형) 스마트폰을 연이어 출시하며 가격대별 라인업을 구축했다.
특히 프리미엄 스마트폰 시장에서는 높은 하드웨어 사양과 신기술을 접목한 '갤럭시노트'가 100만원에 달하는 비싼 가격에도 불구하고 지난해 글로벌 판매량 100만대를 돌파하는 등 스마트폰과 태블릿PC 사이의 신규 틈새시장(블루오션)을 창출하며 입지를 굳혔다.
아울러 구글과 함께 안드로이드 운영체제(OS)의 최신 버전인 '아이스크림 샌드위치'를 탑재한 기준(레퍼런스)폰 '갤럭시 넥서스'도 출시했다.
OS도 전 세계적으로 안드로이드·윈도폰·바다 등 다양하게 구성했으며, 태블릿PC도 7인치에서 10.1인치까지 다양한 사양과 크기의 제품을 내놓았다.
삼성전자가 이처럼 다양한 라인업을 구성할 수 있는 것은 공급망관리(SCM)에 강점이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전 세계 여러 시장의 상황에 맞춰 공급을 탄력적으로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실적 효과가 극대화됐다는 것이다.
국내와 북미 지역에서 4G LTE(롱텀에볼루션) 망이 깔리기 시작하면서 통신 부문의 다른 축인 네트워크 사업 매출이 성장한 것도 이번 실적에 영향을 줬다.
삼성전자는 새해에도 스마트폰과 태블릿PC 신제품 라인업을 확대해 시장 주도권을 유지하면서 성장성도 강화하는데 초점을 맞출 계획이다.
특히 비수기이면서도 경쟁사 스마트폰 신제품이 출시되는 1분기에는 '갤럭시 노트'과 '갤럭시S3' 등 고사양 제품과 보급형 라인업을 통해 견고한 수익성을 유지한다는 계획을 잡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