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SK텔레콤 "아이폰4S로 KT서 '알짜 가입자' 되찾아"

[재경일보 박우성 기자] 아이폰3GS를 출시하지 않아 다수의 '우량 가입자'를 경쟁사인 KT에 빼앗겼던 SK텔레콤이 아이폰4S 출시를 통해 가입자를 다시 상당수 되찾은 것으로 나타났다.

SK텔레콤은 30일 지난해 12월 기준 아이폰4S 가입자 중 48%가 KT에서 번호이동한 사람들인 것으로 분석됐다고 밝혔다.

이는 아이폰4S를 제외한 다른 3G 스마트폰의 경우 KT에서 옮겨온 가입자의 비율이 30% 수준인 것과 비교하면 약 1.6배 높은 수치다.

SK텔레콤에 따르면, KT에서 번호이동한 아이폰4S 가입자의 41.9%가 아이폰3GS 때문에 SK텔레콤에서 KT로 이동했다가 아이폰 4S 때문에 다시 SK텔레콤으로 되돌아왔다.

이 회사가 지난 16∼20일 KT에서 자사의 아이폰4S로 옮긴 86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한 결과 79.6%가 직전에 KT의 아이폰3GS 가입자였으며, 이 중 52.6%는 KT의 아이폰3GS 이전에 SK텔레콤의 휴대전화를 이용했다고 답했다는 것이다.

SK텔레콤으로 다시 번호이동을 가장 큰 이유는 음성 및 데이터 통화 품질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브랜드 이미지라는 답도 적지 않았다.

SK텔레콤으로 되돌아온 이유에 대해 42.9%는 '음성 및 데이터 통화품질이 더 좋아서'라고 답했고, 브랜드 이미지(35.7%), 이용요금 및 결합요금제(11.8%), 단말기 구매조건(4.4%), 멤버십 서비스(3.6%) 등으로 답한 것.

SK텔레콤은 또 "아이폰3GS 구매자들은 국내 스마트폰 붐을 일으킨 주역으로 데이터 이용량과 애플리케이션·콘텐츠 구매 욕구가 높은 경향이 있다"며 "우리로서는 귀한 고객을 되찾은 셈"이라고 밝혔다.

실제로 KT에서 다시 옮겨 온 SK텔레콤의 아이폰4S 이용자들은 가입자당평균매출(ARPU)이 다른 3G 스마트폰 가입자의 ARPU보다 10% 이상 높은 '알짜 가입자'라고 SK텔레콤은 설명했다.

한편 KT는 작년 12월 자사 아이폰3GS 가입자의 94%가 아이폰4S를 구매했으며, 이들 중 68%가 KT에 재가입했다고 밝힌 바 있다.

이런 가운데, 이동통신 업계에서는 올해 상반기 안으로 2년 약정기간이 만료되는 약 70만명으로 추산하고 있는 KT의 아이폰3GS 가입자들이 어떤 선택을 할지를 주목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