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경일보 김윤식 기자] 방송통신위원회가 시간, 지역, 서비스 유형별로 국내 유무선 통신망의 트래픽 상황을 한 눈에 알 수 있는 '트래픽 지도'를 연내 구축해 통신망 과부하 문제 해결에 나서기로 했다.
방통위는 30일 올 연말까지 유무선 통신망에서 어떤 용도로 얼마나 많은 데이터 트래픽이 사용되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트래픽 지도 구축을 위해 조사분석을 진행한 후 체계를 만들어 내년 초부터 데이터를 수집, 내년 1월경에 완성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방통위는 지난해 2월 구성된 '무선트래픽 급증대책 전담반'을 통해 트래픽 지도의 구체적인 운용 방식을 논의할 계획이다.
전담반에는 KT, SK텔레콤, LG유플러스 등 이동통신 3사와 정보통신정책연구원(KISDI),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학계 인사 등이 참여하고 있다.
트래픽 지도는 초고속인터넷망, 2G, 3G, 와이브로, LTE(롱텀에볼루션) 등 우리나라에 구축된 IP기반 통신망에서 음성 통신, 영상 통신, 엔터테인먼트, 이메일, 게임 등 용도별로 얼마만큼의 트래픽이 사용되고 있는지를 시간, 서비스유형, 지역별로 구분해 정량화한 통계지표다. 애플리케이션은 특정 앱이 아닌 서비스 유형에 따라 카테고리화해 전체 트래픽 발생량을 취합한다.
방통위는 트래픽 지도가 데이터 급증의 원인이 무엇인지, 어떤 통신망에 과부하가 걸려 있는지, 문제 해결을 위해 어떤 방식으로 네트워크 투자를 하는 것이 바람직한지 등을 판단하는 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미 미국, 일본 등에서는 데이터 트래픽 용도를 체계적으로 분류하는 사업을 시행 중이며, 이들 국가는 개인정보 침해 우려가 없는 범위에서 IP플로(Flow) 기반 모니터링 기술을 이용해 국가 차원 트래픽 통계자료를 생산하고 있다.
방통위는 해외 사례를 참조해 국내 통신환경에 맞는 트래픽지도를 수립할 방침이다. 지역별로는 무선 트래픽 발생량이 많은 수도권을 중심으로 통계화한다. 특정 기지국 또는 소규모 지역 단위로 트래픽 발생량을 집계한다.
방통위는 "개인정보 침해의 우려가 없는 범위에서 각 이통사로부터 트래픽 정보를 받아 국가 차원의 트래픽 통계를 만들 계획"이라며 "트래픽 지도가 정부 정책이나 사업자의 판단에 유용하게 쓰일 것"이라고 설명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