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퇴직연령대 고령자 경제활동 참가율 외환위기 이후 최고

[재경일보 오진희 기자] 지난해 퇴직 연령대 고령자들이 외환위기 이후 최고의 경제활동 참가율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은 한국전쟁 전후에 태어나 1970~1980년대 산업역군으로 일해오던 50대와 60대에 걸쳐 있는 고령자들로, 일부 베이비붐 세대(1955~1964년생)도 포함돼 있다.

이들은 퇴직에 임박했거나 은퇴한 연령이지만 노후준비 부족과 자녀 지원을 위해 다시 `생활전선'에 뛰어들었다.

1일 통계청과 고용노동부, 퇴직연금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전체 생산가능인구(15~64세) 가운데 최고령층인 55~64세(1948~1957년생) 인구의 경제활동 참가율이 63.7%로 2000년 이후 가장 높았다.

이들이 전체 생산가능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2000년 10.6%에서 지난해에는 15.0%로 4.4% 포인트나 증가했다.

연령대별는 50대 경제활동 참가율이 2000년 68.7%에서 지난해 73.1%로 상승했다. 특히 50대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율이 2008년 이후 계속해서 늘어나고 있다.

이로 인해 노동시장에서 근로자의 평균연령도 2000년 36.2세에서 2010년에는 39.0세로 높아졌다.

이들 고령자 중 상당수는 도소매업이나 음식업 창업을 통한 자영업에 종사하고 있었으며, 비정규직이나 한시적인 일자리를 얻는 경우도 많은 것으로 파악됐다.

고령자들이 이처럼 활발하게 경제활동에 나서고 있는 것은 노후 준비가 부족한데다 청년 실업과 결혼연령 상승 등으로 인해 자녀 부양 부담이 적지 않기 때문으로 풀이되고 있다.

국민연금연구원은 지난해 실태조사 보고서를 통해 은퇴를 앞두거나 은퇴생활을 하고 있는 50대 이상의 중ㆍ고령자 10명 가운데 7명은 노후 준비를 전혀 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됐다고 전했다.

이에 따라 경제활동에 참가하는 고령자에 대한 정책적 배려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황수경 한국개발연구원(KDI) 연구위원은 "일자리의 정년을 늘리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며 "60세 이상 국민연금 수급 연령까지는 원래 직장에서 일할 수 있도록 해줘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