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경일보 김윤식 기자] 국내 이통사들이 본격적으로 LTE 스마트폰을 판매한 지 4개월만에 LTE 가입자 200만명 돌파를 앞두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폭발적인 성장세가 과도한 보조금 지급 때문이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어 방송통신위원회가 별도 점검에 나설 예정이다.
2일 업계에 따르면, SK텔레콤은 지난 1일 세계 최단 기간에 100만 LTE 가입자를 돌파했고, SK텔레콤보다 보름 정도 늦게 LTE 스마트폰을 출시한 LG유플러스도 약 80만 가입자를 유치했다.
지난달 뒤늦게 LTE 서비스를 개시한 KT도 경쟁사들을 따라잡기 위해 각종 혜택을 앞세워 공격적으로 가입자 유치에 나서면서 LTE 가입자 200만명 돌파가 초읽기에 들어갔다.
하지만 방통위는 이러한 LTE 가입자의 폭발적인 증가가 이통사들이 LTE 스마트폰에 과도한 보조금을 지급하기 때문인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방통위 관계자는 "사업자들이 일반 휴대전화 단말기보다 LTE 스마트폰에 더 많은 보조금을 주는 편"이라며 "LTE 스마트폰 시장만 보면 과열 양상을 띠고 있다고 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방통위는 경쟁이 지나치게 과열된 LTE 스마트폰 시장을 바로잡기 위해 보조금 점검 항목에 LTE 스마트폰을 별도로 도입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방통위는 현재 일반 휴대전화(피처폰)와 스마트폰 등 두 분야의 보조금 지급 현황을 조사하고 있으며, 두 항목의 평균값이 27만원 이상이면 보조금이 과도하게 지급되는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이통사들은 바로 이 점을 노려 3G 스마트폰이나 피처폰의 보조금을 줄이는 대신 LTE 스마트폰의 보조금을 높여 평균값을 27만원 이하로 낮추는 방식으로 방통위의 규제를 피하면서 LTE 가입자들을 적극적으로 유치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보조금이 높으면 소비자는 당장에는 저렴한 가격으로 최신 휴대전화를 구매할 수 있지만, 이통사의 마케팅비 지출이 늘어나기 때문에 향후 요금 인상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또 3G 등 다른 서비스를 이용하는 소비자들은 부당한 피해를 볼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