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SK텔레콤 점유율 50% 무너져… 와이브로 때문에 SK텔레콤·KT 희비 교차

[재경일보 박우성 기자] '와이브로' 때문에 SK텔레콤과 KT의 희비가 교차하고 있다.

8일 통신업계에 따르면, 방통위는 지금까지 매달 '이동전화'와 '와이브로'를 분리해 가입자를 집계해왔지만 지난달부터 '이동전화'와 '휴대인터넷(와이브로)'을 '이동통신 서비스' 항목으로 묶는 새로운 통계 분류 방식을 도입했다.

이에 따라 SK텔레콤의 이동통신 점유율 50%가 무너지게 됐고, KT는 점유율을 더 끌어올릴 수 있게 됐다.

하지만 이 같은 방통위의 통신 서비스 가입자 통계 항목 다변화에 따른 가입자 점유율 집계방식을 놓고 SK텔레콤과 KT의 의견이 충돌하고 있다.

SK텔레콤측은 이동통신 가입자 점유율을 계산할 때 '와이브로' 가입자를 포함하지 않아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으나 KT는 포함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방통위는 통계 항목 변화에 대해 "LTE(롱텀에볼루션), MVNO(이동통신 재판매) 등 새로운 서비스가 등장함에 따라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통계 항목을 개편했다"며 "와이브로는 LTE와 유사한 데이터 기반 4세대(4G) 서비스이기 때문에 이동통신 서비스로 편입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사용자의 정보 활용도를 높이고자 가입자 점유율은 발표하지 않기로 했다"고 덧붙였다. 이전까지 방통위는 와이브로를 제외한 이동전화 가입자를 기준으로 이동통신 3사의 점유율을 발표해왔는데, 앞으로는 이를 발표하지 않겠다는 것.

지난해 방통위가 발표한 이통3사의 가입자 점유율은 SK텔레콤 50.5∼50.6%, KT 31.5∼31.7%, LG유플러스(U+) 17.7∼17.8%였었다.

여기에 지난해 12월까지 국내 와이브로 가입자 SK텔레콤 5만5천330명, KT 74만4천134명을 포함하게 될 경우, SK텔레콤의 이동통신 서비스 가입자 점유율은 49.9%로 떨어져 50%가 무너지고 KT의 점유율은 32.4%로 상승하게 된다.

가장 강력한 경쟁상대인 SK텔레콤의 50% 점유율이 무너지자 KT는 당연히 방통위의 새 통계 지침을 반기고 있다.

KT 관계자는 "통신의 패러다임이 음성에서 데이터로 변화하는 시대에 맞춰 더욱 정확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게 됐다"며 "앞으로 와이브로를 포함한 가입자 점유율을 사용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반면 SK텔레콤은 "통계의 일관성을 지키지 않으면 시장에 혼란을 줄 수 있다"며 반대 입장을 밝히고 있다.

SK텔레콤 관계자는 "지금의 와이브로는 보조 망일 뿐"이라며 "와이브로를 포함해 점유율을 계산하면 스마트폰과 함께 데이터 보조용으로 와이브로를 쓰는 사람을 2명의 가입자로 판단하는 문제가 생긴다"고 지적했다.

하지만 이미 방통위가 와이브로를 포함하기로 했기 때문에 점유율 산정 방식의 변경은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한편, 방통위가 통계 기준을 다양화한 만큼 이동전화나 와이브로 등에 얽매이지 말고 시장 점유율을 다양하게 분석할 필요가 있다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다.

방통위는 통계항목을 개편하면서 스마트폰·태블릿PC·MVNO·사물지능통신(M2M)·선불 등 서비스별 가입자 수를 공개하기 시작했으며, 이들 자료를 조합하면 MVNO나 M2M를 제외한 순수 이동전화 가입자 점유율 등을 파악할 수 있게 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