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직장인 10명 중 8명 "1주일에 한번 이상 야근"… 절반은 수당도 못 받고 일해

[재경일보 이호영 기자] 직장인 10명 가운데 8명은 1주일에 한 번 이상 야근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 이들 가운데 26.2%는 주당 5번 야근을 해 사실상 매일 야근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야근자 가운데 절반은 야근 수당 등 보상도 받지 못하고 야근을 하고 있었다.

취업포털 사람인은 직장인 2천9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81.4%가 '일주일에 한 번 이상 야근을 하고 있다'고 응답했다고 20일 밝혔다.

주당 야근 횟수는 '5번'(26.2%)이 가장 많아 10명 가운데 2명 넘는 직장인들이 매일 야근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3번'(19.9%), '4번'(16.3%), '2번'(15.5%) 등의 순으로 집계돼 주당 3~5번 가량 야근을 하는 직장인들이 대부분일 정도로 야근이 심각한 수준인 것으로 드러났다.

또 하루 평균 야근 시간은 3시간 16분으로 나타났다. 퇴근 시간을 오후 6시라고 보면 대부분 9시가 넘어서야 집에 들어가고 있는 것. 

야근을 하는 이유(복수응답)로는 '업무량이 너무 많아서'(52.4%)라는 답변이 가장 많아 과중한 업무가 야근의 가장 큰 원인인 것으로 나타났고, '퇴근하기 눈치 보여서'(28.7%), '일을 대신 해줄 사람이 없어서'(25.1%), '상사가 야근을 강요하는 편이라서'(24%) 등의 응답이 뒤를 이었다. 일이 많은 것도 문제지만 회사 문화의 구조적인 문화가 직장인들의 야근을 강요하고 있는 것.

야근이 미치는 악영향(복수응답)으로는 '사생활이 없어졌다'(70.5%), '피로 등으로 건강이 나빠졌다'(66.8%), '가족, 친구 등 주위에 소홀해졌다'(56.3%), '애사심이 줄었다'(38.4%) 등의 의견이 나왔다. 야근이 가져오는 긍정적인 효과보다 부정적인 효과가 많아 업무에 있어서 비효율적이지만 야근이 거의 일상화되어 있어 개선이 시급한 것으로 보인다.

반면 회사에서 수당 등 야근에 대한 보상을 받고 있다고 밝힌 직장인은 49.5%에 불과해 많은 직장인들이 적절한 보상도 받지 못한 채 노동력을 혹사당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