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온라인 컨슈머리포트 19일 첫 오픈… 1호 제품은 등산화

[재경일보 김유진 기자] 소비자들의 상품 선택을 돕는 온라인 컨슈머리포트가 이르면 오는 19일 선보인다. 컨슈머리포트에 '1호' 이름을 올릴 제품은 등산화이며, 6월에는 전용 모바일 앱이 출시돼 스마트기기로도 각종 상품정보를 접할 수 있게 된다.

공정거래위원회는 6일 "한국소비자원과 소비자단체가 생산한 상품비교정보를 소비자들이 쉽게 이용할 수 있는 온라인컨슈머 오픈작업이 마무리 단계"라며 이같이 밝혔다.

미국의 소비자단체가 만드는 컨슈머리포트를 본뜬 한국형 온라인 컨슈머리포트는 1월 문을 연 소비자종합정보망(스마트컨슈머 ·www.smartconsumer.go.kr)에 설치되며, 제품, 비교항목, 비교결과, 추천제품, 이용 후기 등으로 구성되어 있어 소비자들이 품질 좋고 저렴한 제품을 쉽게 선택할 수 있도록 했다.

특히 이용 후기란에는 소비자들이 직접 주관적인 관점에서 제품의 장·단점, 추천 여부를 구분해 작성할 수 있도록 했다.

컨슈머리포트에서 정보가 제공되는 첫 제품은 최근 아웃도어 열풍과 함께 소비자 관심도가 높은 등산화이며, 올 들어 발표됐던 유아복·가습기·워킹화 등 정보도 제공된다.

유모차(3월)에 이어 연금보험·보온병·어린이 음료수(4월), 프랜차이즈 커피·무선주전자(5월), 마스크 팩·건전지·헤드폰(6월) 등도 상반기 중 차례로 컨슈머리포트에 오르게 된다.

공정위는 또 오는 6월에는 컨슈머리포트 섹션에 신규정보가 등재되면 소비자가 대형마트나 상가에서 제품을 선택할 때 언제, 어디서라도 상품정보를 비교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모바일 알림서비스를 통해 소비자에게 실시간으로 정보를 전달하는 전용 모바일 앱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7월에는 소비자들이 직접 비교정보를 생산할 수 있는 '클릭정보DIY' 섹션을 구축하고, 수요조사를 통해 소비자들의 관심 품목을 선정, 상품정보를 확대해 나갈 방침이다.

소비자원의 월간 오프라인 잡지(소비자시대)에도 관련 정보를 싣는 방안도 강구된다.

공정위는 이와 함께 현재 22개 기관 40개 사이트와 연계한 스마트컨슈머에 연내 2단계 고도화작업을 통해 소비자단체, 보험개발원 등을 포함한 49개 기관 60개 사이트를 추가하기로 했다.

특히 소비자들의 합리적인 소비생활 정착을 위해 행정안전부의 교통·도시가스 등 공공요금, 냉면·비빔밥 등 외식비, 세탁료·미용료 등 개인서비스요금 등의 정보를 우선해 연계할 예정이다.

공정위 관계자는 "컨슈머리포트에 들어갈 콘텐츠를 차츰 소비재위주에서 진공청소기 등 내구재로 확대해 미국의 권위 있는 컨슈머리포트처럼 소비자들이 상품정보를 찾으려고 인터넷을 헤맬 필요가 없도록 하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