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자녀 셋 이상 가정 급증… 지난해 100명 중 11명꼴

[재경일보 김시내 기자] 자녀를 셋 이상 두는 가정이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태어난 아이는 100명 중 11명꼴로 세 번째 이상의 가정의 자녀가 됐다.

이는 정부가 펼쳐온 출산장려책의 효과라는 분석이지만, 저출산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서는 셋째 아이 이상에 집중된 지원책을 둘째로 확대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12일 통계청의 지난해 출생통계 잠정치에 따르면, 지난해 출생아 가운데 출산 순위로 셋째 이상인 아이는 전년(4만9천932명)보다 1천700명(3.3%) 가까이 늘어난 5만1천600명이었다.

셋째 이상 출생아가 5만명을 넘은 것은 2001년(5만5천599명) 이후 10년 만이다.

늘어난 규모도 지난해 전체 출생아의 전년 대비 증가폭(1천200명)보다 컸다.

지난해 출생아(출산순위 미상 포함) 가운데 셋째아 이상의 비중은 10.95%로 1984년(12.78%) 이후 27년 만에 최고였다.

첫째아는 50.74%로 2010년(50.05%)보다 상승했으나 둘째아는 37.97%로 전년(38.68%)보다 하락했다.

셋째아 이상 비중은 1980년대 초반까지도 100명 중 20명이 넘었지만 저출산 분위기가 본격화되면서 1991년에는 6명꼴로 줄어들었지만 정부의 출산장려책 영향으로 서서히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통계청 서운주 인구동향과장은 "셋째아 이상 출산이 늘어난 것은 그간의 출산장려정책과 그에 따라 달라진 사회 분위기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중앙정부가 각종 결혼, 임신, 출산, 양육 지원책을 운영한 것이 주효했다는 것이다. 지방자치단체가 출산지원금을 지원한 효과도 있었다.

일부 기초자치단체에선 여섯째 이상의 아이를 낳으면 한때 3천만원까지 준 적도 있다.

서울 서초구는 첫째 10만원, 둘째 50만원, 셋째 100만원, 넷째 이상 500만원의 신생아 출산지원금을 준다.

뿐만 아니라 모든 임산부에 대해 임신ㆍ출산진료비를 40만원씩 주고 일정 소득기준 이하의 난임부부에겐 체외ㆍ인공 수정 비용을 지원하며, 다자녀 소득공제 혜택도 확대해 자녀가 많을수록 세금도 덜 낸다.

올해는 만5세 누리 과정을 시행한 데 이어 내년에는 만3~4세에 대한 무상보육 과정을 도입한다.

이런 가운데 기혼여성들도 다산에 대한 인식도 변화되고 있다.

2010년 인구센서스 표본조사 결과를 보면, '다산'의 징후를 엿볼 정도로 기혼여성의 인식 변화가 뚜렷하다.

임신할 수 있는 가임 연령대(15~49세) 기혼여성 가운데 121만5천명이 자녀를 더 낳겠다고 답해 5년 전보다 14만4천명(13%) 늘었다.

특히 추가계획 자녀 수가 3명 이상인 기혼여성은 2005년 2만8천명에서 2010년 5만5천명으로 갑절로 불어났다.

핵심 출산연령(25~34세) 기혼여성이 추가로 낳겠다는 자녀 수는 평균 0.67명으로 5년 전보다 0.20명 증가했다.

보건사회연구원 이삼식 저출산고령사회연구실장은 "분위기가 많이 달라졌다"며 "첫째를 낳고서 둘째를 고민하는 경우가 많지만 둘째를 낳고 나면 상대적으로 셋째를 낳기는 쉽다. 셋째에 집중된 출산장려책을 둘째로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