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해외발 악재에 코스피 2,000선 무너지고 코스닥은 3.3% 폭락

[재경일보 양진석 기자] G2(미국·중국) 경기침체 우려와 북한 리스크 등 '해외발 악재'로 코스피가 종가 기준으로 지난달 7일의 1982.15 이후 한달 만에 2,000선이 무너졌고 코스닥은 3.3%나 폭락했다. 코스닥은 올 들어 처음으로 500선이 붕괴되며 약 4개월만에 최저치로 주저앉았다.

2천363억원 매도 우위를 기록한 대규모 프로그램 매물과 외국인과 기관의 동반 매도세가 지수 하락을 주도했다.

외국인이 선물시장에서 3천700계약 이상을 내다파는 등 공격적인 선물 매도에 베이시스가 악화되자 프로그램은 차익거래로 1천억원 이상의 매물이 나왔고, 비차익으로도 기관을 중심으로 1천억원 이상 매도 물량이 쏟아졌다.

중국 경기에 대한 우려로 화학, 철강, 기계 등 중국 관련주가 크게 하락했고, 총선을 앞두고 정치테마주도 급락했다.

하지만 약세장 속에서도 현대차는 사상 최고가를 다시 경신하는 등 강세를 보였다.

9일 유가증권시장에서 코스피는 직전 거래일보다 31.95포인트(1.57%)나 급락한 1,997.08로 마감했다.

이날 지수는 부활절로 인해 미국, 영국, 독일, 프랑스 등 해외 주요증시가 휴장인 가운데 미국 고용지표 부진의 영향으로 하락한 2,008.03으로 출발해 장 초반부터 2,000선 밑으로 내려왔다.

미국의 3월 실업률이 3년여만에 최저치인 8.2%까지 내려갔지만 신규고용(비농업 취업자수)이 12만개에 불과해 전문가 예상치 20만3000개를 크게 밑돌며 지난해 11월 이래 5개월만에 처음으로 20만건을 밑돌았다. 2월 소비자 신용 지수도 예상치보다 낮아 미국 경기침체에 대한 우려가 커졌다.

중국의 3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예상치를 웃돌게 나타난 것도 증시에 부정적 영향을 줬다.

중국의 3월 소비자물가지수(CPI)는 전년 동기 대비 3.6% 상승, 전월 상승률(3.2%)과 전문가 예상치(3.4%)를 웃돌았다.

북한이 오는 12~16일 중 장거리 로켓 '광명성 3호'를 발사할 가능성이 높아진 상황에서 3차 핵실험도 실시할 것이라는 관측이 나와 장거리 미사일 발사에 이어 핵실험을 했던 ‘2009년 도발’을 재현하려는 모습을 보이는 등 북한 리스크도 재부각됐다.

오는 12일 옵션만기일을 앞둔 수급 악화, 4월 11일 총선일 휴장을 앞둔 경계심리 확산 등도 투자심리를 악화시켰다.

투자자별로는 외국인과 기관이 각각 652억원, 784억원을 순매도했다. 개인은 저가매수에 집중하며 2천370억원을 순매수했다.

프로그램 매매는 차익거래 1천71억원, 비차익거래 1천291억원 순매도로 전체적으로 2천363억원의 매도우위로 장을 마쳤다. 외국인은 12일 옵션만기일을 앞두고 공격적인 선물 매도에 나섰다.

업종별로는 음식료품(0.95%)을 제외하고는 모두 하락했다.

특히 의료정밀(-4.17%), 건설업(-3.87%), 종이·목재(-3.79%), 기계(-3.47%), 증권(-3.44%), 운수창고(-3.13%) 등이 3~4% 급락했다.

현대산업개발(-9.31%)이 9%나 급락한 가운데 현대건설(-4.49%) GS건설(-4.05%) 등이 4~5% 가까이, 대우건설, 대림산업 등은 3% 이상 하락한 건설주가 부진한 모습을 보였다.

두산인프라코어(-4.62%)와 두산중공업(-3.99%) 등이 3~4% 하락한 기계주도 약세를 보였고, 한진해운(-7.21%)이 7%나 하락한 가운데 STX팬오션(-4.72%), 대한해운(-4.23%) 대한항공(-1.90%) 아시아나항공(-1.57%) 등이 모두 부진한 모습을 보인 운수창고도 많이 내렸다.

지수 하락으로 키움증권(-4.01%)과 대우증권(-3.95%) 우리투자증권(-3.64%) 등이 3~4%대의 하락률을 보이는 등 증권주도 부진했다.

이 밖에 은행, 금융, 운수창고, 운수장비, 철강, 의약품, 전기전자업종도 1~2%대 낙폭을 기록했으며 화학업종도 1%대 하락세를 보이는 등 대부분의 업종이 1% 이상 하락한 가운데 전기가스업(-0.10%), 통신업(-0.34%) 등은 하락장 속에 방어적 성격이 부각되며 하락폭이 상대적으로 적었다.

특히 오리온과 CJ제일제당, 대상이 3~4% 오르는 등 경기방어주 성격이 부각되고 낙폭 과대 인식이 반영된 음식료주는 상대적인 강세를 나타냈다.

시가총액 상위종목들도 현대차(1.51%), KT&G(1.67%), SK텔레콤(0.36%)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하락했다.

현대차는 지수 하락 속에서도 장중 26만9500원까지 오른 뒤 4000원(1.51%) 상승한 26만8500원으로 마감, 장 중 및 종가 기준으로 모두 사상 최고가를 기록했다.

하이닉스(-4.10%)와 LG전자(-3.91%)가 크게 하락한 가운데 삼성전자도 1.13% 하락하는 등 전기전자 종목들이 크게 내렸다.

이 밖에 기아차(-0.13%), 포스코(-1.61%), 현대모비스(-2.88%), LG화학(-2.23%), 현대중공업(-2.58%), 신한지주(-1.73%), 삼성생명(-2.43%), KB금융(-2.58%), 한국전력(-0.22%), NHN(-1.29%), 호남석유(-2.45%) 등이 하락했다.

반면 금호석유는 영업실적 개선 기대감으로 1.1% 올랐다.

SK이노베이션은 보합권에 머물렀다.

주요 종목별로는 북한의 장거리 미사일 발사에 이어 핵실험 가능성이 제기된 영향으로 퍼스텍과 휴니드가 상한가를 기록하는 등 방위산업 관련주가 강세를 나타냈다.

에이블씨엔씨는 1분기 실적개선 기대감으로 1.5% 상승했고, SK C&C는 e 러닝솔루션 중동진출 소식에 힘입어 3.9% 올라 강세를 나타냈다.

반면 LED사업 부문의 연내 흑자전환이 어려울 것이라는 분석에 LG이노텍이 5% 가까이 하락했다.

이날 코스피 시장에서 상승 종목 수는 상한가 8종목을 포함해 143개, 하락 종목은 하한가 22종목을 포함해 704개다. 보합은 49개를 기록했다.

코스닥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16.61포인트(3.30%) 내린 486.80에 마감했다. 올 들어 처음으로 500선 아래로 밀려낫다.

코스닥은 매수 세력 실종으로 인한 수급 공백으로 패닉 상태에 빠졌다.

특히 총선이 이틀 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안철수연구소가 12.72%나 하락하는 등 정치테마주가 일제히 폭락했다. 솔고바이오, 바른손, 에이엔피, 모나미, 조광페인트, 우리들생명과학, 우리들제약이 가격제한폭까지 떨어졌고, 비트컴퓨터(14.58%), 코엔텍(12.64%), EG(11.13%)도 폭락세를 면치 못했다.

주요 종목별로는 북한 리스크로 빅텍과 스페코가 가격제한폭까지 오르는 등 방위산업 관련주가 강세를 나타냈다.

인터플렉스과 차바이오앤이 각각 1.08%, 2.18% 올랐고 차량용 블랙박스 업체 파인디지털과 팅크웨어는 최근 블랙박스 시장 성장에 힘입어 각각 5.9% 올랐다.

메디포스트(14.9%)는 연골재생 줄기세포치료제인 '카티스템' 출시 기대감에 가격제한폭까지 치솟았다.

와이엔텍이 이틀째 상한가를 기록하고 웰크론이 3.8% 오르는 등 여수세계박람회(엑스포) 개막을 한달여 앞두고 관련주가 상승했다.

차량용 블랙박스 업체 파인디지털과 팅크웨어는 최근 블랙박스 시장 성장에 힘입어 각각 5.9% 올랐다.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ㆍ달러 환율은 전날보다 6.50원 오른 1,138.20원에 마감했다.
Statcoun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