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불황형 소비시대 맞아 실속형 소비·맞춤형 판매 전략 '뚜렷'

[재경일보 김유진 기자] 실속형 소비 행태와 대형마트들의 맞춤형 판매 전략 등 불황형 소비시대의 특징이 뚜렷이 나타나고 있다.

16일 업계에 따르면, 롯데마트는 지난 11일부터 매장에서 옷의 무게를 달아 g당 30원에 판매하는 형식인 '의류 중량 판매'를 시작했다.

지난해 유럽의 재정 위기로 소비 심리가 크게 위축하자 이탈리아 밀라노 등에서 시작한 이러한 판매 의류 방식을 롯데마트가 벤치마킹한 것이다.

무게 단위로 구입하면 상의 한 벌의 평균 가격은 3천원 가량으로 일반 의류보다 60% 이상 저렴하다.

롯데마트는 이를 통해 이틀 만에 평소 할인 행사의 3배 수준인 4억 원대의 매출을 올렸다.

롯데마트가 지난달 22일부터 판매한 9천900원짜리 청바지도 지난 12일까지 8만2천벌이 팔려 전년 동기 판매량의 배가 넘었다.

롯데마트는 올해 이 같은 저가 의류의 수요가 많다고 보고 작년 준비 물량은 5만벌보다 6배나 많은 30만벌을 준비했다.

식탁 물가가 치솟자 생선도 저가 상품 판매가 크게 늘어났다.

롯데마트는 도루묵을 마리당 900원에 팔고 있는데, 이달 들어 지난 12일까지 매출 신장률이 전년 동기 대비의 3배 이상 높게 나타나고 있다.

도루묵 어획량이 증가한 것도 이유지만 식탁의 인기 생선들이 비싸 상대적으로 인기가 많아진 것이라고 롯데마트는 분석했다.

조기도 올해 어획량이 늘고 가격이 작년보다 30% 떨어진 마리당(80g) 700원에 내놓자 판매가 크게 늘어나고 있다.

와인도 저가상품이 인기를 끌고 있다.

롯데마트는 올해초 MD(상품기획자)가 지난해 6월 프랑스 보르도에서 열린 '빈 엑스포'에서 접하고 들여온 1.5ℓ들이 페트병에 든 실속 와인인 9천900원짜리 '상그리아 와인'을 내놨는데, 한 달 만엔 준비한 물량 1만개가 매진됐다.

불황을 맞아 집 수리를 직접하고, 염색도 집에서 하는 등 서비스 요금을 절약하려는 소비 행태도 엿보이고 있다.

올들어 지난 12일까지 이마트에서 판매된 염색약은 전년 동기 대비 123.5% 증가했다.

공구용품도 25.9% 늘었고 페인트, 스프레이, 롤러 등 직접 집을 꾸미는 작업용 도구의 판매도 30% 안팎의 신장률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가정용 보수용품 외에도 자동차 정비·청소 용품, 헬스 관련용품, 가정용 간편식 등 '집에서 직접 고치고, 해먹고' 등에 필요한 상품들이 대형마트의 전략 판매 대상으로 떠올랐다.

대형마트의 한 관계자는 "경기 불황으로 소비 심리가 위축하면서 저가의 실속형 제품 수요에 판매 전략을 맞출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