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3월 땅값 0.12% 증가… 세종시 효과로 연기군 상승률 1위

[재경일보 김진수 기자] 3월 전국의 땅값이 0.12% 오르며 안정세를 이어갔고 토지거래량은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세종시 효과로 연기군의 상승률이 가장 높게 나타난 가운데 하남시와 여수시도 여전히 높은 땅값 상승률을 보였다.

국토해양부는 지난달 전국 땅값이 전월 대비 0.12% 올랐다고 20일 밝혔다.

서울은 0.1%, 인천은 0.13%, 경기는 0.12%, 지방은 0.09~0.16%가 각각 올랐다. 그러나 지가가 가장 높았던 금융위기 이전인 2008년 10월에 비해서는 전국은 0.76%, 서울은 3.55% 가량 낮은 것이다.

또 1분기 전국 땅값은 0.3% 상승한 가운데 서울은 0.17%, 인천 0.21%, 경기 0.34%, 지방이 0.39% 오른 것으로 집계됐다.

시군구별로는 인천 옹진군(-0.03%)을 제외한 모든 시군구의 땅값이 오른 가운데 세종시를 중심으로 주택과 토지 가격이 오르고 있는 충청남도 연기군이 0.49% 오르면서 가장 높은 상승률을 보였다.

경기도 하남시는 감북동 보금자리주택지구 지정과 신장동 복합쇼핑센터 개발 등으로 땅값이 0.36% 올라 두번째로 높은 상승률을 나타냈다.

이어 엑스포가 열리는 전라남도 여수시(0.32%), 전라북도 완주군(0.29%), 강원도 춘천시(0.25%) 순으로 땅값이 비교적 큰 폭으로 올랐다.

서울 주요지역 가운데서는 강남구와 서초구가 0.15%, 0.1% 각각 올랐으며, 송파구와 양천구, 용산구가 0.09% 땅값이 상승했다.

토지거래량은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달 토지거래량은 모두 18만6천754필지, 18만9천211㎢ 규모로 전년 동월 대비 필지수로는 18.2%, 면적으로 12.3% 감소했다. 이는 최근 3년간 동월평균거래량(20만5천필지)보다 8.8% 낮은 수준이다.

건축물 부속토지 거래를 제외한 순수 토지거래량은 모두 8만5천597필지, 17만8천353㎢로 전년 동월 대비 필지수로 7.4%, 면적으로 12.8% 줄었다. 최근 3년간 동월평균거래량(8만9천필지)보다는 4.9% 감소했다.

하지만 전월 대비로는 거래량이 늘었다. 지난달 토지거래량은 2월보다 필지수가 12.8%, 면적이 17.3% 증가했다. 순수토지 거래량은 필지수 8.9%, 면적 16.7% 각각 늘었다.

용도지역별로는 전년 동월 대비로 용도미지정지역(23.7%), 개발제한구역(23.2%)의 거래량이 늘어난 반면 주거지역(-27.2%), 자연환경지역(-15.3%)의 거래량은 줄었다.

이용 상황별로는 공장용지(11.1%) 거래는 증가했고 대지(-23.4%)는 감소했다.

지난 1월 31일 토지거래허가구역이 해제된 51개 지역 땅값은 전월보다 0.11% 상승해 안정세를 유지했다. 토지거래량은 전월보다 27.4% 상승했고 전년 동월보다는 17.1% 감소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