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경일보 전재민 기자] 저축은행 비리를 조사 중인 대검찰청 저축은행 비리 합동수사단(최운식 부장검사)이 최근 영업정지된 미래저축은행 비리와 관련, 23일 하나캐피탈 본사를 압수수색했다.
이는 하나캐피탈이 지난해 9월 퇴출설이 나돌던 미래저축은행의 유상증자에 참여해 145억 원을 투자하는 과정에서 김승유 당시 하나금융 회장이 개입했다는 의혹이 불거져 나온 데 따른 것으로 보인다.
23일 검찰 및 금융당국 등에 따르면, 검찰은 이날 오전 10시 서울 서초구 서초동에 위치한 하나캐피탈 본사에 수사 인력을 보내 압수수색을 실시, 하나캐피탈이 유상증자에 참여할 당시의 관련 문서들과 일부 자료가 보관되어 있는 컴퓨터 하드디스크 일체를 확보하고 오후 2시경 압수수색을 마친 것으로 알려졌다.
하나캐피탈은 또 유상증자에 참여하면서 미래저축은행이 지분을 되사는 풋백옵션을 걸고 그림·건물 등을 담보로 잡았는데 이 배경에 대해서도 의혹이 나오고 있다.
김찬경 미래저축은행 회장 동생 명의의 건물은 이미 감정가를 넘는 근저당권이 설정돼 있어 담보 효력이 거의 없으며 그림 역시 평가액을 산정하기 어려워 담보로서 부적합하다는 것이다.
이 밖에 하나금융도 지난 2010년 김찬경 회장 소유 충남 아산의 아름다운 골프장 회원권을 18억원에 구입한 사실이 드러나 의혹을 키우고 있다.
김승유 전 회장은 또 지난 2010년 청와대 김모 행정관의 형이 160억 원대 채무로 법정관리에 넘어간 병원을 김찬경 회장의 도움으로 60억 원을 주고 되찾는 과정에도 개입한 의혹을 받고 있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이미 하나캐피탈과 관련한 자료들은 검찰에 넘어간 상태”라며 “검찰 수사를 지켜보고 나서 추가 검사 여부 등을 고려할 것”이라고 말했다.
![대출](https://images.jkn.co.kr/data/images/full/973872/image.jpg?w=60&h=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