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그렉시트?' 그리스 국민 `유로존 잔류' 선택

[재경일보 이규현 기자] 그리스가 유로존(유로화 사용 17개국)을 이탈하는 `그렉시트(Grexit·Greece Exit)' 우려는 사실상 사라졌다.

그리스 국민이 유로존 잔류를 선택했기 때문이다.

17일(현지시간) 치러진 그리스 2차 총선 결과, 유로존 잔류를 강조한 정당들이 국민들의 지지를 받아 사실상 연정을 출범할 수 있게 됐다.

이에 따라 '구제금융 재협상'에 따른 구제금융 지원 중단, 디폴트(채무불이행) 선언, 유로존 탈퇴 등으로 이어지는 파국의 가능성은 사실상 사라지게 됐다.

이런 가운데 신민당이 공약으로 `구제금융 지원이 굳건히 유지되는 범위 내'에서의 추가 협상이라는 `구제금융 추가협상'을 약속했기 때문에 그리스 정부는 유로존과 IMF가 1천100억유로의 추가 구제금융을 지원하고, 그리스는 재정긴축과 경제 개혁을 이행한다는 약속이 포함된 유럽연합(EU)·유럽중앙은행(ECB)·국제통화기금(IMF) 등 이른바 트로이카와 맺은 2차 구제금융협정(MOU)은 다시 협상 테이블에 오를 전망이다.

이 협약에는 재정적자 감축 목표들과 경제개혁 이행 시간표 등 세부내용이 담겨있는데, 트로이카도 그리스에 강도 높은 긴축 요구에 대한 반발의 목소리가 커진 상태라서 재정적자 감축 목표 완화, 구제금융 금리 인하, 경제성장을 촉진하는 조치 등에 대해 합의할 가능성이 높다는 지적이다.

장 클로드 융커 유로그룹(유로존 재무장관회의) 의장은 새 정부가 출범하는 대로 트로이카 팀이 아테네를 방문, "향후 진로와 재정긴축 및 개혁 이행을 점검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 독일, 프랑스, 이탈리아, 스페인 등의 정상은 오는 22일 이탈리아 로마에서 회동해 그리스 상황에 대해 논의하는 한편, 그리스 구제금융 조건 완화에 관련해 집중적으로 논의할 것으로 보인다.

피에르 모스코비치 프랑스 재무장관은 이날 밤 프랑스 2TV에 출연 "원칙도 필요하지만, 희망도 필요하다"며 "유럽은 그리스가 성장으로 복귀하는 것을 도울 필요가 있다"고 밝혀 구제금융 조건 완화를 시사했다.

디디에르 레인데르스 벨기에 외무장관은 "재정적자 감축 목표 시한들에 대한 논의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재정적자를 3% 이하로 낮추는 시점을 더 늦춰주는 논의가 이뤄질 가능성이 있다는 뜻이다.

다만 긴축 이행을 강조하고 있는 볼프강 쇼이블레 독일 재무장관은 이번 선거 결과에 대해 나라를 성장 궤도로 돌려놓는 경제 개혁에 대한 그리스 국민의 지지를 보여준다고 평가하면서도 "그 길은 짧지도 쉽지도 않지만, 필요하고 더 나은 삶을 가져다주는 것"이라며 개혁 이행에 무게를 실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