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경일보 전재민 기자] 최근 카드사들이 수수료율 인하 등을 이유로 일반카드의 부가서비스를 대폭 줄인 가운데 연회비의 최대 5배까지 혜택을 누릴 수 있는 초우량고객(VVIP) 신용카드의 파격적인 부가서비스 혜택은 그대로 유지해 논란이 빚어지자 부가서비스를 대폭 축소하기로 했다.
국내에 출시된 VVIP카드로는 현대카드 `더 블랙', 삼성카드 `라움', 롯데카드 `인피니트', KB국민카드 `태제', 하나SK카드 `클럽원', 신한카드 `프리미어' 등이 있다.
22일 카드업계에 따르면, 신한카드, KB국민카드, 삼성카드, 롯데카드, 현대카드, 하나SK카드, 비씨카드는 VVIP 카드 혜택을 줄이라는 금융당국의 권고를 수용해 다음달 중으로 마일리지 등 부가서비스를 축소하고 무료 상품권 제공도 제한하기로 했다.
또 신규 VVIP 카드는 다음달부터 아예 발급하지 않기로 했다.
금융당국은 최근 카드사들로부터 VVIP 카드 부가서비스 내역 등을 받아 연회비보다 혜택이 많은 VVIP 카드의 문제점을 고치는 작업을 해왔으며, 카드사들은 이 같은 금융당국의 움직임을 의식해 새로운 VVIP 카드 개선 방안을 마련했다.
먼저 KB국민카드는 내년 1월부터 VVIP 카드 회원에게 `간호사 방문 통합의학 검사권'을 제공하지 않기로 했으며 24시간 헬스케어서비스와 건강비서 서비스도 종료하기로 했다.
VVIP의 항공 마일리지 월간 적립한도도 기존 5만 마일리지에서 1만5천마일리지로 크게 줄이고, 무이자 할부 이용액은 마일리지를 쌓아주지 않기로 했다.
롯데카드는 VVIP 카드만 있으면 이용 실적에 상관없이 무료 여행권·건강검진권 등을 제공했으나 앞으로는 전월 또는 연간 실적이 있어야 제공하는 방식으로 무료 상품권 제공에 제한을 두기로 했다.
하나SK카드도 마일리지 등 VVIP 카드 서비스를 축소하고 VVIP 신규 카드발급은 중단하기로 했다.
현재 국내 VVIP 카드 회원은 4천여명이며, 현대카드가 절반 가량의 회원을 유치했다. VVIP 카드의 연회비는 최대 200만원이며, 월 사용한도는 기본이 1억원이다.
문제는 VVIP 카드의 부가 서비스는 상상을 초월하는 수준이라는 것이다.
우선 카드사들은 VVIP 회원들에게 매년 제주도 여행권, 건강검진권, 호텔 이용권을 상품권 형태로 제공하고 있다.
또 항공기 이용 때는 동반자 무료와 비즈니스석을 샀다면 퍼스트클래스로 승급할 수 있는 좌석 승급 혜택도 준다.
호텔 스위트룸도 이용할 수 있는 등 회원들은 200만원의 연회비로 무려 5배에 달하는 최대 1천만원의 혜택을 누릴 수 있다.
카드사들은 VVIP 카드의 이 같은 파격적인 서비스 혜택으로 인해 연간 100억원대 적자를 보고 있지만 부유층 유치를 위해 해당 서비스를 유지하고 있다.
VVIP 카드 회원의 월평균 사용액은 1천만원 이상으로, 대부분 일시불에 연체율과 해지율은 0%에 가까워 카드사로서는 매우 중요한 고객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카드사들은 VVIP 카드로 인해 발생한 손실을 현금 서비스 등 대출 수익으로 메워 서민에게 고금리로 번 돈을 부자들에게 퍼준다는 비난을 면치 못하고 있다.
한 카드사 관계자는 "VVIP 카드 1장당 매년 수백만원의 손실이 나는 게 현실"이라면서 "카드사들이 경쟁적으로 VVIP 유치에 나선 탓에 서비스가 지나치게 많아졌는데 이제는 손을 봐야 한다는 데 공감한다"며 뒤늦게 참회의 목소리를 내놨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