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버블세븐' 용인 아파트값 3.3㎡당 1천만원 붕괴… 거품붕괴 신호탄?

[재경일보 김진수 기자] '버블세븐' 지역인 경기 용인시 아파트의 평균 매매가격이 심리적 마지노선인 3.3㎡당 1천만원 아래로 떨어졌다.

용인시 아파트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중대형 아파트에 대한 수요가 급감하고 있는 데다 광교 등 인근 2기 신도시가 입주를 시작했고 저렴한 분양가의 동탄 2 신도시까지 분양에 나서면서 용인시 아파트에 대한 수요자들의 관심이 떨어진 탓이다.

용인시의 아파트값 하락이 버블세븐 지역의 거품 붕괴의 신호탄이 되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가 커질 것으로 보인다.

부동산정보업체 부동산114는 지난달 용인시 아파트값이 3.3㎡당 997만원을 기록했다고 6일 밝혔다.

용인시 아파트값이 3.3㎡당 1000만원 이하로 떨어진 것은 2006년 이후 처음이다.

최고점이었던 2007년 3월의 1243만원에 비해서는 무려 19.7%나 하락했다.

용인 하락세의 가장 큰 요인은 수요를 초과한 아파트 공급이다.

건설업계는 2000년 초중반 조성된 '아파트 붐'을 타고 강남 접근성과 쾌적한 환경을 갖춘 용인에 물량 공세를 펼쳤고, 부동산 호황기를 맞아서는 아파트값이 2005년 33%, 2006년에는 29% 각각 오르면서 '버블세븐' 지역으로까지 지정됐다.

그러나 글로벌 금융위기가 터진 2008년 한해동안 14%가 떨어졌고, 판교신도시와 광교신도시 등 수도권 수요를 대체할 수 있는 2기 신도시들이 속속 들어서며 하락세를 부추기고 있다고 업체는 전했다.

주변 지역에 경쟁력 있는 아파트들이 들어서면서 상대적으로 매력이 떨어지기 시작했고, 결국 이는 공급이 수요보다 많아지는 상황을 초래한 것.

또 용인은 중대형 아파트가 전체의 73.8%로 비중이 높은 데다 분양가도 다른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비싼 편이라 실수요자 중심의 주택 시장에서 이중고를 겪고 있다.

용인의 한 중개업소 관계자는 “대형 아파트 위주로 시세보다 20% 저렴한 급매가 나와도 거래가 되지 않는다”면서 “동탄2신도시 아파트 분양가가 3.3㎡당 1040만원 초반에 결정되면서 그나마 관심을 보였던 실수요자도 사라졌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