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경일보 이호영 기자] 직종·사업장별 임금관련 정보를 입체적으로 수집하는 '임금정보조사'가 도입돼 직종별 임금격차나 임금인상 결정요인 등에 대한 다양한 분석이 가능해질 것으로 보인다.
고용노동부는 그동안 임금교섭 타결률과 인상률 산출을 위한 '임금교섭 타결현황 조사'를 해 왔지만, 이는 단순한 임금정보 파악에만 치중한 것이어서 조사결과 활용에 한계가 있었다.
고용부는 10일 효과적인 임금정책 수립에 필요한 자료를 축적하기 위해 임금정보조사제를 도입, 이날부터 인터넷 사이트를 통해 입력을 받는 방법으로 조사에 착수한다고 밝혔다.
새로 도입된 임금정보조사는 사업장과 근로자의 구체적인 고용·임금 정보를 입력하도록 설계됐다.
임금체계(호봉급·직능급·직무급 등), 임금산정 단위(시간·일·월·연 등), 직종(관리직·연구기술직·사무직·서비스판매직·생산기능직·단순노무직 등) 등을 구분해 정보를 조사하고, 매출액, 인건비, 재무구조, 원·하도급관계 등 사업장의 경영정보도 수집한다.
또한 기본급 결정요인과 조정방식, 임금 결정 과정의 주요 요인, 임금조정 방식, 근속에 따른 임금수준 등도 입력하도록 했다.
고용부는 이를 통해 원·하청 관계에 따른 임금격차나 직종별·임금체계별 임금수준 차이, 임금 책정과 조정 등에 영향을 미치는 원인 등에 대한 입체적인 분석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고용부는 지난주 전국 1001곳의 표준사업장을 대상으로 새로운 조사 방식 도입에 대한 설명을 마쳤고 이달 말까지 조사를 진행한다.
고용부 관계자는 "이달 말 자료 입력이 끝나면 전문기관을 통해 조사결과를 분석하고 발표할 예정"이라며 "임금관련 정보의 축적으로 정부의 임금정책 수립과 사업장 지도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