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MB정부 5년간 수도권 전세가격 28.6% 올라

[재경일보 김진수 기자] 이명박 정부 출범 이후 현재까지 5년간 수도권 아파트의 전세가격이 평균 28.6%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부동산포털 닥터아파트는 MB정부가 들어선 2008년 2월부터 현재까지 수도권 아파트의 전세가 변동률을 조사한 결과, 이 같이 나타났다고 11일 밝혔다.

지난 참여정부(2003~2007년) 기간 수도권 전세가 변동률은 평균 15.85%였다.

지역별로는 서울 28.23%, 경기 27.31%, 신도시 24.8%, 인천 18.29% 순으로 나타났다.

서울에서는 강서(38.1%)·광진(34.56%)·마포(33.62%)·중랑(32.88%)·도봉(30.80%)·동작(30.41%)·강동(30.4%)·강북구(30.2%) 등에서 전셋값이 급등했다.

업체는 서울에서는 25개 자치구 가운데 강북권 5개구, 도심·강서권 각 3개구, 강남권 2개구 등 13개구의 전세가 상승률이 평균을 웃돌아 상대적으로 비강남권 서민 주거지의 전세가 상승세가 두드러졌다고 전했다.

경기도는 경부고속도로 인근 오산(48.13%)·화성(44.87%)·안성(39.10%)·용인(37.97%)·평택시(34.66%) 등이 많이 올랐다.

신도시에서도 경부고속도로와 가까운 동탄신도시가 111.65%나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동탄신도시 아파트의 3.3㎡당 평균 전세가는 2008년에는 311만원에 불과했지만 현재는 659만원으로 치솟았다.

이 같은 전셋값 상승은 보금자리주택 공급이 늘어난 데다 2008년 3분기 미국발 금융위기를 기점으로 현재까지 주택시장 침체가 장기화되고 있는 것이 원인이라는 분석이다.

닥터아파트 이영호 소장은 "정부가 그린벨트를 헐어 입지 좋고 저렴한 새 집을 짓겠다는데 서둘러 집을 살 이유가 없다"면서 "월세 전환으로 전세 매물이 줄었는데 수요는 급증하니 값이 오른 것"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