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아이폰5' 혁신 없는 진화 '실망'… 트렌드세터·선구자 역할 경쟁사에 빼앗겨

[재경일보 김상현 기자] 애플이 12일(현지시간) '아이폰5'를 발표했지만 혁신 없는 진화만 보여 실망스럽다고 주요 외신들이 전했다.

애플의 아이폰은 2007년 첫 출시 이후 스마트폰 시장의 혁신을 주도해왔지만 지난해 10월 스티브 잡스가 사망한 이후 혁신이 실종됐고, 이번에 공개된 아이폰5도 화면이 더 커지고 얇고 가벼워진데다 4G(4세대) LTE(롱텀에볼루션) 통신망과 강력한 프로세서를 채용해 더 빨라지기는 했지만 잡스의 프레젠테이션마다 등장했던 이른바 '하나 더(One more thing)'가 없어졌다는 지적이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아이폰5가 화면이 커진데다 음성 인식 기능인 '시리'도 더욱 강력해지는 등 진화한 것은 것은 맞지만 '대약진(great leap forward)'을 했다는 평가는 없다"고 전했다.

이어 애플이 지난 5년간 새로운 유행을 정착시키는 '트렌드세터' 역할을 해왔지만 이제는 이미 경쟁사들이 내놓은 것 이외에 새로운 것이 없다고 꼬집고 이른바 '애플의 팬보이(광팬)'들 사이에서도 선구자 역할을 지속할 수 있는지에 대해 의문이 제기되기 시작했다고 전했다.

WSJ는 여기에서 한 발 더 나아가 아이폰5가 가지고 있지 않은 경쟁사들의 혁신적인 기능을 소개하기도 했다.

신문은 애플의 아이폰5는 구글과 삼성전자의 합작품인 갤럭시 넥서스나 앞으로 출시될 윈도폰이 가고 있는 모바일결제기능이나 갤럭시S3 등 최신 안드로이드폰의 '터치 투 셰어(Touch to Share)' 기능이 없다고 지적했다.

'터치 투 셰어'는 스마트폰끼리 가벼운 접촉을 통해 동영상이나 사진 등을 공유할 수 있는 기능을 말한다.

또 아이폰은 아직 홈 화면에 정적인 아이콘을 채용하고 있는데 비해 안드로이드폰이나 윈도폰은 홈 화면만 봐도 곧바로 현재 날씨나 새로 도착한 이메일, 페이스북 업데이트 등을 보여주는 기능을 개발해 사용하고 있다고 전했다.

증권회사 '스턴 어지'의 애널리스트 쇼 우도 로이터에 "그들(애플)은 이전에는 시장을 주도했지만 지금은 방어적인 역할이 더 많아졌다"고 평가했다.

이런 가운데 다음 달로 알려진 차기 발표행사 등에서 기대한 만큼의 혁신적인 내용을 선보이지 못하면 앞으로 애플을 바라보는 시각이 변화할 수도 있을 것이라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