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중국 해양감시선 센카쿠 진입에 8일째 반일 시위… 중·일 일촉즉발 위기

[재경일보 김송희 기자] 지난 11일 일본의 센카쿠 국유화를 통한 실효지배 강화에 반발, 중국에서 연일 대규모 반일(反日) 시위가 계속되고 있는 가운데 중국의 해양감시선과 어선이 센카쿠(尖閣.중국명 댜오위다오<釣魚島>) 해역에 대거 진입 양국의 긴장이 '일촉즉발'의 상황으로 치달으면서 무력 충돌의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특히 일본 제국주의의 중국 침략이 본격화한 만주사변 발발일인 18일, 중국의 100여개 도시에서 반일 시위가 벌어져 시위가 중국 전역으로 확산되는 양상이다.

18일 교도통신과 NHK방송 등 일본 언론에 따르면, 센카쿠 해역의 일본과 중국 접속수역에 이날 하루 중국의 해양감시선 10척과 어업감시선 1척 등 11척이 진입했다.

일본 해상보안본부는 이날 오후에만 중국 국가해양국 소속의 해양감시선 8척이 센카쿠 접속수역에 들어왔다고 밝혔다.

오전에는 중국 어업감시선 '위정(漁政) 35001호'가 센카쿠 접속수역에서 포착됐다.

일본 순시선이 중국 어업감시선에 "일본 영해에 들어오지 말라"고 경고하자 중국 측은 중국어로 "댜오위다오는 중국 고유의 영토다. 당신들이 이 해역에서 떠나라"라고 응수한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 어업감시선은 구바섬(久場島)과 다이쇼섬(大正島) 접속수역을 차례로 항해했다.

중국 어선으로 추정되는 선박도 출현했다. 교도통신은 자사 헬기가 우오쓰리섬 북북서쪽 25km 해역에서 중국 어선으로 추정되는 선박 5척을 촬영했다고 전했다.

선체에는 중국식 한자가 적혀 있었지만 국기는 걸려 있지 않아 대만 선박일 가능성도 제기됐다.

중국 언론은 어선 1천척이 센카쿠 주변해역으로 향했다고 보도했지만, 일본 해상보안본부는 "센카쿠 주변에서 대량의 중국 어선은 확인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중국 어선이 물고기떼를 쫓아 일본 영해에 진입할 경우 단속에 나선 일본 해양경찰청의 경비선과 접촉할 수 있다. 우발적으로 2010년 9월 발생한 센카쿠 충돌과 같은 사태가 일어날 수 있다.

센카쿠 주변 동중국해에는 양국 해양 군사력이 집중돼 있다.

중국은 이미 최근 센카쿠 쪽을 맡고 있는 동해함대가 동중국해에서 전투함정, 잠수함, 전투기, 헬리콥터, 지상 지원 부대 등을 대거 동원한 모의 전투 훈련을 벌였다. 훈련에서는 전투함정, 유도탄정 등에서 모두 40여발의 미사일이 발사됐다.

중국 인민해방군도 최근 난징(南京), 광저우(廣州), 청두(成都), 지난(濟南) 등 4대 군구의 육·해·공군 등 3군 합동 작전으로 도서 탈환 훈련을 벌였다.

일본 방위성은 PC3 초계기 등을 통한 통상 감시활동을 강화하는 한편 해상보안청의 능력을 넘어선 상황이 발생해 '해상경비행동'이 발령될 경우에 대비해 자위대 함정을 센카쿠 제도 가까운 해역으로 이동토록 했다.

일본 정부는 중국 어선의 영해 진입 등에 대비해 총리 관저 위기관리센터에 정보연락실을 설치했다.

이런 가운데 지난 11일 일본의 센카쿠 국유화 조치로 촉발된 중국의 반일 시위가 8일째 계속되면서 시위가 '상시화'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특히 일본 제국주의의 중국 침략이 본격화된 만주사변 발발일인 이날 중국의 100여개 도시에서 반일 시위가 벌어져 시위가 중국 전역으로 확산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

시위 양상이 폭력적으로 흐르면서 중국에 진출한 일본인이 불안에 떨고 있고, 도요타와 혼다, 닛산자동차 등 대표적 일본계 기업들은 시위대의 습격을 우려해 공장 가동을 일시 중단하거나 영업점을 닫았다.

일본은 과거 중국의 최고지도자인 덩샤오핑(鄧小平)의 요청으로 파나소닉(옛 마쓰시타전기)이 칭다오(靑島)에 설립한 TV공장이 시위대의 습격을 받아 가동을 중단한 데 큰 충격을 받고 있다.

칭다오 파나소닉 공장은 1972년 국교정상화 이후 40년 양국 관계의 상장이기 때문이다.

중국 정부는 시위의 폭력화 우려에도 계속 용인하겠다는 입장이다. 외교부 훙레이(洪磊) 대변인은 17일 브리핑에서 "국민에게 이성적, 합법적으로 요구를 전달하기를 촉구한다"고 말해 평화적 시위의 경우 용인하겠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한편, 일본은 센카쿠 국유화에 대한 중국의 반발이 장기화되고고 기업의 피해가 커지자 당혹스러워하고 있다.

중국 정부가 강경한 입장을 고수하고 있는데다 국민의 대일 감정도 갈수록 악화되고 있기 때문이다.

일본 정부는 연일 외교 경로를 통해 중국에 냉정한 대응과 자국민과 기업의 안전 확보를 촉구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