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이통3사, 작년 번호이동 고객에게서 위약금 3157억 챙겼다

[재경일보 김상현 기자]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 등 이동통신 3사가 작년 한해동안 타사로 번호이동하는 고객으로부터 받아챙긴 위약금이 무려 3000억원을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동통신사들이 타사 고객을 빼앗아 오기 위해 막대한 보조금을 뿌리고 있지만, 또 타사로 떠나는 고객에게는 그에 상당한 위약금을 물리고 있는 것이다.

이에 통신사들이 위약금 제도를 통해 자신들의 배만 불리고 있다는 비판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20일 국회 문화체육관광방송통신위원회 소속 전병헌 의원이 방송통신위원회로부터 제출받은 '이동통신 3사의 지난 2년간 위약금 수익현황' 자료에 따르면, 작년 한해 이동통신 3사의 위약금 수입은 모두 3157억원에 달했다.

업체별로는 KT가 타사로 떠나는 해지고객 271만3000명에게 1304억7000만원의 위약금을 받아 1위를 차지한 가운데, LG유플러스가 해지고객 218만명으로부터 1017억원, SK텔레콤이 해지고객 191만8000명으로부터 835억4000만원의 위약금을 각각 받아낸 것으로 조사됐다.

올해 들어서도 고객의 위약금 부담은 여전해 이통사들의 보조금 전쟁이 본격화하기 전인 올해 7월까지 3사의 해지고객 303만명이 총 1289억원의 위약금을 낸 것으로 나타났다. 7개월 동안 1인당 평균 4만2000원을 지불하고 통신사를 바꾼 셈이다.

이런 가운데 '보조금 대란'이라는 말이 나올 정도로 이통사들의 가입자 뺏기 경쟁이 절정에 달했던 지난 8~9월에는 모두 112만명이 번호이동으로 통신사를 옮겨 8월 한달동안 이들이 물어낸 위약금이 무려 470억원에 이를 것으로 추산된다.

이런 가운데 SK텔레콤과 KT는 오는 11월 도입하려는 '약정할인 위약금'제도가 도마위에 올랐다.

이 제도는 약정기간에 중도 해지했을 때 그동안 할인받은 만큼 위약금을 물리는 제도로, 약정기간이 오래된 가입자일수록 중도해지 때 더 많은 위약금을 물게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전병헌 의원은 "휴대전화 및 통신서비스의 유통구조의 근본적인 개혁없이는 약정할인 위약금제도 도입은 시기상조"라면서 "오히려 선량한 이용자들을 노예화하고 통신사들의 배만 불리게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