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저축은행 영업정지 `뇌관' PF대출 잔액 3조원… 절반은 부실

[재경일보 전재민 기자] 저축은행의 생사를 가르는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 잔액이 3조원을 넘고 이 중 절반은 부실 우려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 대출의 70%가 부동산 경기침체로 인해 타격을 받고 있는 수도권에 집중돼 있고 연체율은 41%에 달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금융감독원은 9일 국회 정무위원회에 제출한 국정감사 자료에서 저축은행의 PF 대출 잔액이 3조1113억원이라고 밝혔다.

이 중 2조4562억원의 대출 만기가 올해 집중됐는데, 1조1346억원은 지난 6월 이미 만기가 돌아왔고 나머지 1조3216억원은 올해 말까지 만기가 돌아온다.

또 저축은행이 뛰어든 PF 사업장은 부동산 경기 침체가 심각한 수도권에 70.1%가 몰려, 주로 PF 대출에서 비롯되는 저축은행의 부실이 앞으로도 계속 나타날 수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수도권 중 경기도가 1조919억원으로 가장 많았고, 서울 7121억원, 인천 3763억원이었다.

금감원은 아울러 저축은행 PF 대출 가운데 1조6207억원(52.1%)이 `고정이하' 여신이라고 밝혔다.

고정이하 여신이란 건전성 분류 결과 대출 이자를 받지 못하거나 아예 원금조차 떼일 우려가 큰 것으로 판단되는 대출이다.

또 PF 대출 9802억원(31.8%)도 `요주의'로 분류돼 언제든지 고정이하로 주저앉을 수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반면 건전성 등급이 `정상'으로 나온 대출은 5014억원(16.1%)에 불과했다.

저축은행의 PF 대출 규모는 지난해 `저축은행 사태'를 겪으면서 급격히 감소했지만 PF 대출의 연체율은 급등하는 추세여서 저축은행의 추가 구조조정으로 이어질 공산이 크다.

PF 대출 잔액을 보면 2005년 말 6조3000억원에서 2010년 말 12조2000억원까지 늘었으나 부산·솔로몬·한국·제일 등 PF 대출을 많이 취급한 대형 저축은행이 영업정지된 여파로 지난해 말 4조1000억원으로 줄었고 올해 들어 1조원이 더 줄었다.

하지만 연체율은 2005년 말 9.1%, 2007년 말 11.6%에서 2010년 말 25.1%로 뛰었고 지난해 말에는 41.1%까지 치솟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