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롯데그룹 계열사 합병 가속도… 신동빈 '내실 있는 성장' 강조

[재경일보 이호영 기자] 비상경영 체제를 선언한 롯데그룹이 최근 경영 효율성 제고와 경쟁력 강화를 위해 계열사 합병을 통한 계열사 재정비에 속도를 내고 있다.

그동안 거침없는 인수합병(M&A)으로 확장된 사업영역을 조정할 필요가 있다는 판단에서다.

롯데그룹은 그동안 적극적인 국내외 대형 M&A를 바탕으로 덩치를 키워왔으나 최근 불안정한 경제상황이 계속되자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이 '내실 있는 성장' 경영전략을 강조하는 등 하반기부터 비상경영 체제를 선언하고 '숨고르기'에 들어간 상태다.

19일 관련기업에 따르면, 롯데그룹은 2009년부터 3년여에 걸쳐 10건의 계열사 합병을 단행했다.

지난해는 롯데칠성이 롯데주류를, 롯데제과가 롯데제약을, 롯데삼강이 파스퇴르를, 롯데리아가 롯데나뚜루 등을 각각 흡수합병했다.

올해에도 유사 계열사 간 합병이 계속돼 롯데삼강이 웰가를, 롯데쇼핑이 롯데스퀘어를, 롯데삼강이 롯데후레쉬델리카를, 호남석유화학은 케이피케미칼을 합병했다.

합병을 통해 자산규모 확대 및 기존 사업 통합 운영 등의 시너지 효과를 발휘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에서다.

롯데는 또 전날에는 롯데쇼핑과 롯데미도파의 합병을 결정한 데 이어 내년초까지 3~4건의 합병 절차를 추가로 진행할 계획이다.

이미 지난 8월 롯데스퀘어를 합병해 몸집을 불린 롯데쇼핑은 롯데미도파 외에 롯데역사 합병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롯데그룹 측은 "계열사 사업 재배치 작업은 진행 중인 사안"이라면서 "언제 어떤 계열사의 흡수합병, 분할이 결정되어 발표하게 될지는 알지 못한다"고 설명했다.

롯데삼강을 중심으로 식품계열사를 통합하는 작업도 진행중이다.

롯데삼강은 파스퇴르유업(2011년 11월), 유지제품 제조판매사인 웰가(2012년 1월), 편의점용 식품 제조사인 롯데후데쉬델리카(2012년 10월)를 합병한 데 이어 내년 1월1일 육가공 계열사인 롯데햄도 합병할 예정이다.

롯데삼강은 지난 17일 기존 사업부문에서의 사업 경쟁력을 강화하고 경영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롯데햄을 흡수합병하기로 결정했다고 공시했다.

롯데삼강과 롯데햄의 합병비율은 1대0.0406861이다.

롯데제과도 지난해 10월1일 롯데제약을 흡수 합병했고, 롯데칠성음료는 지난해 10월 롯데주류BG를 합병했다.

외식업체인 롯데리아는 패밀리레스토랑 사업체인 푸드스타(2009년 4월), 크리스피크림 도넛 판매사인 롯데KKD(2010년 7월), 아이스크림 제조업체인 나뚜루(2011년 12월)를 차례로 합병했다.

2009년 1월 롯데대산유화를 합병했던 호남석유화학은 연말까지 케이피케미칼을 합병하기 위해 치밀하게 준비중이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기업들이 경기가 좋을 때는 신성장 동력 확보를 위해 기업 분할에 적극 나서지만 경기가 침체될 때는 간접비용을 줄이고 자원을 공유하기 위해 계열사를 합병하는 것이 일반적"이라며 롯데의 계열사 합병 배경을 설명했다.

이 같은 롯데그룹의 행보에는 신동빈 회장의 차업 철학에서 나왔다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그룹 목표인 '2018년 200조원 매출과 아시아 톱10 글로벌 그룹'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시너지를 극대화할 수 있는 효율적 사업 재배치가 필수적이라는 판단에서다.

우원성 키움증권 연구원은 "합병을 통해 사업 품목과 거래처 확대 등 매출 시너지와 물류비와 공통비 등 비용 절감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그룹 계열 내 모든 식품 관련 사업이 롯데삼강으로 편입되면서 '종합식품회사'로의 변신을 꾀하고 있다"며 "그룹 차원의 외형 확대 의지를 확인시켜주는 의미있는 이벤트"라고 덧붙였다.

롯데는 이 같은 계열사 합병을 통해 원가·비용 절감과 체질강화를 꾀하는 한편 주요 프로젝트에 대한 투자심사 분석을 강화해 신규사업 진출에 신중을 기하기로 했다.

롯데그룹의 한 관계자는 "비상경영 체제 선언과 함께 그룹의 사업 전반에 걸쳐 재조정 작업이 진행중"이라며 "불필요한 지출 억제와 자원 공유를 통한 효율성 향상, 계열사의 경쟁력 강화가 합병의 주목적"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