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중소기업 돈줄은 막히고 재고는 쌓이고 '빨간불'

[재경일보 안진석 기자] 중소기업이 돈줄이 막히고 재고가 쌓여가는 등 경영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유럽 재정위기와 미국 경기회복 지연, 중국 경기 둔화 등 세계 경기 침체로 인해 수출과 내수의 동반 부진이 계속되면서 재고 부담이 커지고 생산과 출하 감소로 이어지는 악순환에 빠진 것으로 드러났다.

이런 가운데 금융권은 건전성 강화를 위해 은행 문턱을 더욱 높일 전망이어서 중소기업이 앞으로 '혹한기'를 지나야 할 것으로 보인다.

21일 금융감독원과 통계청 등에 따르면, 수출과 내수의 동반 부진으로 중소기업의 매출이 줄면서 창고에는 재고가 쌓이고 생산과 출하 감소로 이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소기업의 전년 동기 대비 재고지수 증가율은 유럽 재정위기 전인 지난해 7월 3.8% 수준에서 지속적으로 상승해 지난해 11월(10.6%) 10%를 넘은 이후 8개월째 두자릿수를 유지했으며 올해 7~8월에는 한자릿수로 내려왔지만 아직 8.9%, 9.2%로 높은 수준이다.

전년 동기 대비 생산지수 증가율은 올해 8월 -4.9%로 2009년 10월(-7.5%) 이후 34개월 만에 최저치였고, 8월 출하 증가율은 -5.6%로 1월(-6.1%) 이후 7개월 만에 가장 낮았다.

이는 어려운 대내외 여건 속에서도 대기업의 8월 생산과 출하지수 증가율이 각각 2.2%, 0.7%로 최근 플러스 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것과 비교된다.

이런 가운데 중소기업이 금융권으로부터 돈을 빌리는 것이 더 힘들어져 자금 사정도 크게 나빠진 것으로 나타났다.

중소기업이 직접 채권을 발행하거나 유상증자, 기업공개(IPO) 등을 통해 부족한 자금을 마련하는 경우가 크게 줄어 올해 1~8월 중소기업의 직접조달 금액은 4852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의 1조8963억원에 비해 74.4%나 급감했다.

이는 대기업의 직접 조달액이 같은 기간 46조원에서 40조원으로 소폭(12.5%) 줄어든 것에 비해 약 6배나 감소폭이 큰 것이다.

또 올해 1~9월 중소기업의 은행 대출 규모는 11조2000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의 15조2000억원보다 26.3% 줄었다.

이는 같은 기간 대기업의 은행 대출 규모가 21조원에서 28조원으로 32.3% 증가한 것과 뚜렷이 대조된다.

이에 따라 은행 대출 잔액도 대기업이 작년 말 115조원에서 올해 9월 말 143조원으로 24.6%나 증가한 반면 중소기업은 441조원에서 452조원으로 겨우 2.5% 늘어나는 데 그쳐 증가율이 10배 가까이 차이가 났다.

한국은행 관계자는 "올해 기업 분류 기준이 달라져 작년 중소기업 중 일부가 올해 대기업으로 이동했다"며 "작년 기준에서의 중소기업 대출은 늘어난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은행들이 장기침체에 대비해 건전성을 강화하는 차원에서 우량한 대기업 대출을 선호하고 중소기업에 대한 대출 문턱을 더욱 높였다는 지적이 끊이지 않고 있다.

당분간 저성장 속에 `불황형 흑자'와 소비 축소가 예상돼 중소기업의 자금 사정은 그리 나아지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내년에는 은행의 자본 건전성을 강화하는 내용의 바젤Ⅲ가 도입되면 은행 문턱은 더욱 높아질 전망이다.

중소기업연구원 김광희 정책본부장은 "수출에서 길이 안 보이니 내수 진작을 기대했는데 주머니에 돈이 있어야 쓸 텐데 이마저도 안되고 있다"며 "지금 뚜렷한 해결책이 없으며 세계 경기가 좋아져야 답이 나올 것 같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