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작년 제조업 부가가치 485조5460억원… 11.5%↑

[재경일보 이호영 기자] 지난해 우리나라 제조업의 부가가치가 485.5조원으로 전년 대비 11.5%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청이 31일 발표한 광업·제조업조사 잠정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종사자 수가 10인 이상인 광업·제조업의 부가가치는 487조5240억원으로 전년보다 11.5% 늘었으며, 이중 제조업 부가가치는 485조5460억원으로 전년 대비 증가율은 똑같은 11.5%인 것으로 나타났다.

업종별로는 화학(41.4%), 석유정제(38.3%), 의약품(22.1%), 금속가공(18.2%)에서 부가가치가 크게 늘어난 반면 인쇄·기록매체(-5.7%)와 비금속광물(-2.6%)은 부진했다.

또 부가가치 구성비 추이를 보면 1981년에는 섬유·의복(19.2%), 음식료·담배(15.2%), 석유·화학(15.1%) 순이었지만 지난해에는 전기·전자(28.0%), 석유·화학(12.8%), 자동차(10.9%) 등 자본집약적인 고부가가치 산업이 다수를 차지했다.

산업구조별 비중을 보면 지난해 중화학공업이 85.2%로 전년보다 0.5%포인트 증가, 광업·제조업에서 중화학공업의 비중이 더 커진 것으로 나타났다다.

사업체당 부가가치는 76억9700만원으로 1년 전보다 10.3% 증가했다.

광업·제조업 출하액은 1501조6980억원으로 전년보다 13.0%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업종별로 보면 유럽 재정위기와 중동의 사회불안에 따라 국제유가가 오른 영향으로 화학(33.2%)과 석유정제(32.8%)의 증가세가 두드러졌다.

철강산업은 지속적인 설비확충과 산업 수요 증가세에 힘입어 출하액이 21.0% 늘었고, 자동차는 북미시장으로의 수출이 증가해 17.3% 증가했다.

반면 인쇄·기록매체(-3.9%), 담배(-2.3%), 비금속광물(-2.2%) 등은 출하액이 감소했다.

광업·제조업 사업체 수는 6만3442개로 1년 전보다 1.1% 늘었다.

자동차(6.8%), 조선(5.8%), 철강(4.3%), 의료정밀(3.9%) 등에서 증가한 반면 인쇄·기록매체(-7.6%), 가구(-3.0%), 비금속광물(-2.8%) 등에서 줄었다.

지난해 광업·제조업 종사자 수는 271만2000명으로 2.4% 증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