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경일보 이호영 기자] 장기적인 경기침체 여파로 인해 대기업도 부도 위험에서 안전하지 못하다는 분석이 나왔다.
대기업 소속 한계기업의 도산 위험이 커지고 있어 대기업 집단 자체의 부실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것.
한국은행은 31일 국회에 제출한 '금융안정보고서'에서 "기업 수익성 악화로 한계기업의 도산 위험이 커지고 있다"며 "대규모기업집단(대기업 집단)에 소속된 한계기업이 늘어나 대기업 집단으로 부실이 확산할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한계기업이란 3년 연속 이자보상비율이 100% 미만이거나 영업활동 현금흐름이 마이너스(-)인 사업체를 말하는 것으로, 영업활동으로 이자도 갚기 어려운 기업을 의미한다.
한은에 따르면, 상장기업 가운데 한계기업의 비중은 2010년 말 14%에서 2011년 말 15%, 2012년 6월 말 18%로 계속해서 증가추세다.
대기업은 2010년 말 11%에서 2012년 6월 현재 15%로, 중소기업 역시 같은 기간 17%에서 21%로 똑같이 4%포인트 늘어났다.
이런 가운데 한계기업의 채무 상환 능력은 계속해서 악화되고 있다.
6월 말 현재 한계기업의 단기차입금 비중은 78%로 정상기업(42%)의 두 배 수준이다.
유동성을 나타내는 유동비율은 2011년 말 91%에서 올해 상반기 82%로 낮아졌다.
한은은 "한계기업의 단기차입금 의존도가 높아졌으나 단기 상환능력은 점차 낮아지고 있다"고 우려했다.
특히 대기업의 계열사 가운데 한계기업이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대기업 집단에 속한 한계기업은 2010년 말 19개에서 2011년 말 22개, 2012년 6월 말 23개로 꾸준히 늘고 있다.
계열사 가운데 한계기업이 있는 대기업 집단은 다른 대기업보다 차입금 의존도가 높은데다 평균 차입금리마저 높았다.
한은은 "한계기업의 경영상황이 개선되지 않으면 한계기업이 속한 대기업 집단의 재무건전성도 함께 악화할 가능성이 있다"고 경고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