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션

증권사·경제연구기관, 내년 성장률 평균 3.2% 전망

[재경일보 안진석 기자] 국내 증권사와 경제연구기관들은 내년 우리나라 경제가 평균 연 3.2%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이는 외국 투자은행들(IB)보다는 약간 높은 것이지만, 정부의 4%에 비해서는 한참 낮은 수준이다.

13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최근 우리나라 경제 성장률을 발표한 주요 증권사 10곳을 포함해 민간·국책연구기관 15곳의 내년 성장률 전망치 평균은 3.2%인 것으로 나타났다.

증권사 10곳 중 가장 높은 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내놓은 곳은 미래에셋증권으로 3.6%였고, 현대증권(3.5%), 신한금융투자(3.4%), 우리투자증권(3.3%), 동양증권(3.3%), 한국투자증권(3.3%), 메리츠종금증권(3.1%) 등이 뒤를 이었다.

반면 대우증권(2.9%), HMC투자증권(2.8%), 삼성증권(2.6%)은 2%대를 예상했다.

경제연구기관 중에서는 현대경제연구원이 3.5%로 가장 높았고, 이어 한국개발연구원(KDI) 3.4%, LG경제연구원 3.3%, 한국경제연구원 3.3%, 금융연구원 2.8%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국내 증권사나 경제연구기관의 전망치는 외국 투자은행(IB)들보다는 0.1%포인트 높은 것으로, 지난달 말 외국 IB 10곳이 전망한 한국의 내년 성장률은 평균 3.1%였다. IB 중에서 모건스탠리가 3.9%로 가장 높고 노무라가 2.5%로 가장 낮았으며, BNP파리바(2.6%), BoA메릴린치(2.8%), 도이체방크(2.8%)도 2%대를 예상했다.

그러나 정부의 예상치와는 큰 차이가 나는 것이다.

정부가 제시한 내년 우리나라 경제 성장률 전망치는 4%로, 증권사 및 연구기관의 평균치인 3.2%에 비해 0.8%포인트나 높은 것이다.

이 때문에 정부가 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하향 조정할 것이라는 예상도 나오고 있다.

지난달 한국은행은 기존 전망치가 너무 높다는 비판 속에 내년 성장률 전망치를 3.8%에서 3.2%로 낮춘 바 있다.

이처럼 비관적인 전망이 나온 것은 세계 경기가 쉽게 회복되지 않고 있는 가운데 내수도 살아나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주요 IB 11곳은 내년 세계경제가 평균 3.2% 성장할 것으로 보고 있다.

미국(1.8%)은 1%대 성장에 그치고 중국도 올해에 이어 내년(7.8%)에 다시 7%대 성장에 머물 것으로 전망했다.

일본(0.8%)은 0%대 성장에 그치고, 유로존(유로화 사용 17개국)은 내년 경제 성장률이 마이너스에서는 벗어나겠지만 0%로 성장이 없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이런 가운데 국내 가계부채 문제, 부동산 침체가 심각해 내수 부문에서 소비가 단기간에 확대될 것으로 기대하기 어려운 현실이다.

메리츠종금증권 박형중 투자전략팀장은 "내년 3%대 성장 전망도 기저효과에 따른 것"이라며 "의미 있는 회복을 하려면 가계부실을 털어내고 공격적인 경기부양이 필요한데 지금 그런 형편이 되지 못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