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경일보 오진희 기자] 맞벌이 부부 증가 등으로 가계의 식료품비 지출에서 외식비가 차지하는 비중이 거의 절반에 육박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외식비 빈부격차로 인해 상위 계층과 하위 계층의 식품비 차이도 두 배 가까이 벌어졌다.
농촌경제연구원이 29일 내놓은 `식품 수급의 최근 동향과 시사점' 자료에 따르면, 가계 식료품비 지출에서 외식비가 차지하는 비중은 1990년까지 20% 수준에 불과했지만 이후 꾸준히 증가하면서 2003년 44%에서 2007년 45.2%에 이어 지난해 46.6%까지 높아졌다.
손쉽게 조리할 수 있는 가공식품의 비중도 2003년 23.6%에서 지난해 25.4%로 높아졌다.
반면에 육류, 생선, 채소 등의 신선식품 비중은 같은 기간 32.4%에서 28%로 낮아졌다.
이는 여성의 사회 진출 등이 확대되면서 복잡한 조리가 필요한 신선식품 구매가 줄어든 대신 외식비나 가공식품 구매비가 늘어난 데 따른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또 소득계층별 식품소비를 보면, 지난해 상위 40%의 월평균 식품비 지출은 81만9000원으로 하위 40%(46만2000원)의 두 배에 가까워 식품비도 양극화현상이 뚜렷해진 것으로 나타났다.
상위-하위 계층의 식품비 격차가 이 같이 벌어진 데는 외식비의 `빈부격차' 영향이 컸다.
상위 40%의 외식비는 한달에 40만6000원에 달했지만 하위 40%는 17만8000원에 불과했다.
또 한국인의 식단이 빠르게 서구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980년 132.9㎏에 달했던 연간 쌀 소비는 2010년 81.5㎏으로 급감했고, 감자, 고구마 등 서류 소비도 같은 기간 21.5㎏에서 13.8%로 크게 줄었다.
반면 육류 소비는 13.9㎏에서 43.5㎏으로 급증했으며, 과실류도 16.2㎏에서 44.2㎏로 크게 늘어났다. 어패류 소비도 22.5㎏에서 36.6㎏으로 늘어났다.
연구원의 황윤재 연구위원은 "외식과 육류소비 증가 등은 식량자급률과 국민 건강 등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면밀한 관찰과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