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경일보 박현규 기자] 전국에 영하 5℃가 넘는 한파가 몰아닥친 데다 올겨울이 평년보다 훨씬 추울 것으로 예상되고 있어 차량 시동 꺼짐과 내부 장치 동파 주의보가 발령되는 등 겨울철 차량 관리에 비상이 걸렸다.
3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삼성화재, 동부화재, 현대해상, LIG손해보험 등 손해보험사들은 혹한기 차량 부동액 점검, 스노타이어 교체, 배터리·엔진오일 점검, 자동차 덮개 씌우기 등을 고객에 공지하기 시작했다.
손보사에 따르면, 차량 월동 준비를 위해 가장 먼저 타이어를 첫눈이 올 시기에 스노타이어로 교체해야 한다. 눈길에서는 스노타이어만으로도 충분하지만 빙판길에서는 타이어 체인도 필요하다. 타이어 체인을 두 바퀴에만 감는다면 구동바퀴에 장착해야 한다. 미끄럼 방지제는 타이어에 한번 뿌려두면 언덕길에 오를 때 크게 도움이 된다.
스노타이어는 가격이 일반 타이어보다 30%가량 비싼 것이 단점이지만 일반 타이어보다 제동거리를 20% 가량 단축해 미끄러짐으로 인한 사고 위험을 줄일 수 있다. 스노타이어 수명은 3~5년이기 때문에 오래된 스노타이어는 교체해야 한다.
또 직물 소재의 타이어 체인은 쇠사슬·우레탄 소재에 비해 가격은 30%가량 비싸지만 설치하고 해체하기가 간편하다. 타이어에 뿌려주는 미끄럼방지제는 사용이 간편하지만 20~30분 지나면 제동력이 급격히 떨어질 수 있다는 점을 감안해야 한다.
부동액은 물과 4대6 또는 5대5 비율로 보조 탱크에 3분의 2 정도 보충해야 한다.
차량용 유리세정액도 겨울용 또는 사계절용을 사용해야 얼지 않는다.
배터리 점검도 중요하다. 무보수(MF) 배터리는 녹색이면 정상, 흰색이면 충전 부족, 적색이면 배터리액 부족·교체를 의미한다.
또 기온이 낮으면 배터리 성능이 떨어지기 때문에 적절한 보온이 필요하다. 건물 지하주차장에 세워두는 것이 가장 좋지만 노상 주차를 해야 할 경우, 배터리 측면을 스티로폼 또는 헌옷으로 감싸면 좋다. 또 3년 이상 사용한 배터리는 상태를 점검하고 필요하면 교환을 검토해야 한다.
기온이 낮아지면 엔진오일이 굳어져 엔진 저항이 커지기 때문에 시동이 힘들어진다. 따라서 겨울철에는 오일 점도가 낮은 겨울용을 쓰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무리 기온이 떨어져도 자동차 덮개를 덮어두면 시동 꺼짐을 막을 수 있다. 자동차 덮개가 없다면 차량 앞면에 이불을 덮어도 좋다.
출발 전에는 시동 직후 오일순환이 원활하지 않아 엔진의 마모가 많고 엔진출력이 약하기 때문에 가솔린이나 LPG 차량은 최소 1~2분, 경유차량은 2~3분 정도 공회전상태를 유지해 엔진을 예열하는 운전이 필요하다.
만일의 사태를 대비해 작업용 장갑, 타이어 체인, 서리제거용 주걱, 김 서림 방지제, 면수건, 모래주머니, 손전등, 삽, 전원 보조케이블 등 기본 장치를 자동차에 실어놓아야 한다.
또 차량이 갑자기 멈춰 서거나 시동이 걸리지 않으면 혼자서 고치려고 애쓰지 말고 손보사의 긴급 출동서비스를 이용하면 된다. 전화 한 통이면 대부분 20~30분 안에 응급조치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동부화재 관계자는 "겨울철에는 차량 월동 준비만 잘해도 사고 대부분을 예방할 수 있다"면서 "정기 점검을 통해 차량 상태를 보는 게 중요하다"고 말했다.
